광주시 북구 임동 일신방직 공장 안에 일제 때 설립된 옛 화력발전소 건물이 남아 있다. 정대하 기자
“일본 강제동원 기업의 구조물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게 종방(종연방적) 전남공장입니다.”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정혜경 박사는 지난 26일 ‘전국 유일 일제강점기 근대산업시설’인 전방㈜, 일신방직㈜ 임동공장 건축물을 보존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1935년 지어진 종연방적 전남공장 터엔 화력발전소와 고가 수조(물탱크) 등 근대산업유산이 남아 있다. 정 대표는 “주요 구조물을 보존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해 강제동원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 정혜경 박사. <한겨레> 자료사진
종연방적 전남공장은 미군정에 귀속됐다가 전남방직공사를 거쳐 전남방직으로 민영화(1951년)됐고, 전방·일신방직으로 분할(1961년)됐다.
두 업체는 공장 이전 뒤 그 터(29만3290㎡·8만8720평)를 공장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변경해 초고층 상가아파트 단지와 쇼핑복합시설을 건설하는 계획을 시에 제출했다. 하지만 근대산업박물관과 전시관 등 공공용지는 1만8867㎡(6.4%)에 불과하다. 두 업체는 이어 이 터를 부동산 개발업체에 7천억원가량에 넘기는 계약을 맺었다.
이국언 근로정신대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 상임대표가 지난달 20일 광주시 북구 임동 전방과 일신방직 공장 터를 둘러보고 있다. 정대하 기자
광주 15개 시민단체가 참여해 꾸린 ‘전남·일신방직 부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공공성 담보 없이 용도변경 해주는 것은 명백한 특혜”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국언 ‘근로정신대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상임대표는 “근대산업유산을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정작 중요한 여성 노동자 등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 일제 적산(일본인 소유 재산)이었던 공장 터에 수탈과 강제동원의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주시는 “공익적 가치를 담은 개발 계획 없인 용도변경은 없다”고 밝혔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광주시 북구 임동 일신방직 공장 안에 있는 옛 고가 수조. 조계현씨 제공
광주시 북구 임동 전방과 일신방직 공장 안 건축 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