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코로나19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들이 생존에 대한 위협을 느끼고 있지만 자치단체의 구체적인 대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연대)는 제40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장애인 감염병 대응 매뉴얼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연대는 “자신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비장애 국민과 달리 장애인들은 코로나19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지역사회로부터 고립을 선택했다. 많은 장애인은 기저 질환을 앓고 있기 때문에 감염되면 심각한 증상과 함께 높은 사망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장애인 가족도 예외 없이 겪는 문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연대는 “광주시는 장애인에 대한 감염병 대책으로 결식 우려 장애인에게 대체식을 전달하고 마스크, 손소독제 지원하는 내용뿐이었다. 광주시는 감염병 정보접근성 해소 방안을 마련하고 장애인 선별 진료소 운영, 독거 중증 장애인 자가격리 지원 방안 등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연대는 또 “광주시의 저상버스 도입률을 높여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시가 2007년부터 수립한 1~3차 ‘광주광역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5개년 계획’을 보면 2007년부터 올해까지 광주시는 저상버스를 910대 도입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343대(37.7%)에 불과했다. 장애인 전용 콜택시는 183대가 목표이지만 116대(63.3%)만 운행되고 있다.
이날 연대는 만 65세 이상 장애인의 활동지원 보장, 최중증 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중장기 지원 대책, 자립생활 지원 등 5개 요구안을 광주시에 전달했다.
김용목 상임대표는 “20여년 전부터 매년 광주시에 장애인 이동권 보장 등을 요구했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당장은 어렵다는 답변만 반복해서 듣고 있다. 이제는 우리의 요구에 대해 마침표를 찍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