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상(왼쪽) 고창군수와 권익현(오른쪽) 부안군수가 지난 5일 중앙부처를 방문해 노을대교 건설을 촉구하는 군민서명을 전달했다. 고창군 제공
전북 고창과 부안에서 서해안을 가로질러 두 지역을 잇는 노을대교의 조기 착공을 촉구하고 있다.
전북도와 고창·부안군은 단순한 경제논리를 떠나 물류비용을 절감과 함께 간선도로 기능 회복 등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노을대교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21일 밝혔다.
노을대교는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고창군 해리면 동호리를 연결하는 교량 길이만 7.48㎞이다. 인접도로까지 합하면 왕복2차로 15.04㎞이다. 부산 중구~경기 파주 문산을 연결하는 국도 77호선(1239.4㎞)의 유일한 단절구간이다. 지금은 해안도로를 따라 우회해야 하지만 다리를 건설하면 직선화가 가능해 50분가량을 단축할 수 있다. 애초 이 다리를 부안의 ‘부’와 고창의 ‘창’을 본떠 ‘부창대교’로 이름을 지었으나, 이 지역 서해바다 노을이 장관이어서 관광효과를 고려해 ‘노을대교’로 바꿔 부르고 있다.
전북 부안과 고창을 잇는 노을대교 약도. 전북도 제공
지난달 31일 시작한 서명운동에는 일주일 만에 부안과 고창지역 주민 3만명이 동참했다. 권익현 부안군수와 유기상 고창군수는 주민 하나하나의 이름이 담긴 서명부를 들고 지난 5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찾았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직접 중앙부처를 방문해 도움을 요청할 예정이고, 다음 달 3일에는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노을대교와 서해안철도의 건설은 수도권 중심의 교통집중을 분산해 서해안권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익현 부안군수도 “국도 77호선의 마지막 단절구간인 노을대교는 관광자원 개발과 낙후한 서남권 지역의 국가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노을대교는 지난해 4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 중으로, 5월에 기획재정부 예타 재정사업평가위원회가 심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6월에는 제5차 국도·국지도 5개년 계획 확정·고시가 예정돼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