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2차 유해발굴 조사결과 최종보고회가 지난 14일 전주시청에서 열렸다. 전주시 제공
한국전쟁 당시 군인과 경찰에게 억울하게 희생된 전주지역 민간인들의 유해와 유품이 추가로 발견됐다.
전북 전주시는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2차 유해발굴 조사결과 최종보고회를 최근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7월부터 추진해온 전주시 효자동 황방산과 산정동 소리개재 등 유해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 전수조사 결과를 지난 14일 발표했다.
2차 조사에서는 모두 유해 44개체(66건)를 발견했다. 2019년에 수습한 34개체의 유해보다 10개체가 늘었다. 유해의 사망 당시 연령은 대부분 25~35살로 확인됐고, 성별 판별이 가능한 7개체 전부가 남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유품으로는 희생자가 착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단추와 허리벨트 등 84개가 발견됐다. 칼빈소총과 엠(M)1소총의 탄두와 탄피도 희생자 주변에서 확인됐다. 칼빈소총과 M1소총은 당시 군인이나 경찰이 사용한 무기체계와 일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결과 탄피에 인골편이 흡착된 것으로, 희생 당시의 잔인했던 상황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시는 오는 21일 발굴된 유해와 유품을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7월 1차 유해발굴에서 나온 두개골과 치아, 다리뼈 일부 등 유해 237건(유해 34개체) 및 M1소총과 권총의 탄피, 벨트 등 유품 129건을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했다. 시는 올해 유해발굴을 위한 매장 추정지를 전수조사한 뒤 3차 발굴도 진행할 방침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여년이 지난 오늘까지 전쟁이 남긴 상흔이 여전히 발견되고 있다. 이번 유해 발굴을 통해 민간인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이 이뤄지고, 유족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2018년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희생자들의 자료 수집 △매장 추정지 증언 확보 △토지사용 허가 △유족과의 간담회 등을 거쳤다. 시는 민간인 희생자 유해 매장지로 효자동 황방산과 산정동 소리개재 주변이 유력하다고 보고 2019년 5월부터 용역을 통해 매장지점을 파악했다.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2차 유해발굴 조사결과 최종보고회가 지난 14일 전주시청에서 열렸다. 전주시 제공
군과 경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7월 전주교도소 재소자 1600여명(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추정)을 좌익 관련자라는 이유로 학살했다. 이어 그해 9월 전주를 점령한 북한 인민군은 재소자 등 500여명을 공산주의에 반하는 반동분자로 분류해 무참히 살해했다.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 학살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은 전주 등 전국 59곳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