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와 한국투명성기구는 지난 4월 청렴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전북도의회 제공
공공기관 청렴도 조사에서 3년 동안 계속 하위권을 차지한 전북도의회가 개선에 나섰다. 처음으로 설문조사도 할 예정이지만 의원들 스스로가 바뀌지 않으면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북도의회는 오는 6월부터 청렴도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투명성 기구와 손잡고 설문조사를 할 예정이다. 전북도 의회는 2018~2020년 3년간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계속 5등급 중에서 하위에 해당하는 4등급을 받았다. 두 기관은 협약사항을 실천하기 위해 해마다 이행계획을 서로 교환하기로 했다.
설문조사는 도의원 39명 전원과 의회사무처 직원 50여명 등 100명가량에 대상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시민단체와 전문가 3~4명이 층 인터뷰를 통해 의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찾기로 했다.
전북도의회는 의원들의 비위로 몸살을 앓았다. 송성환 전 도의회 의장은 뇌물 혐의로 재판을 받으면서도 의장직을 유지하며 비난을 키웠다. 또 논란이 많아 폐지됐던 재량사업비는 주민참여예산으로 이름만 바뀐 채 여전히 집행되고 있다. 외유성 국외연수와 일부 의원의 갑질 논란도 이어졌다.
2020년도 광역의회(17곳) 청렴도 등급표. 자료: 국민권익위원회
하지만 도의회가 추진하는 설문조사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전북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방안 등을 찾는다고 하는데 이는 보여주기식 쇼에 불과하다. 비판을 받은 의원들에 대해 강력한 제재 방법을 도의회 스스로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도의회 관계자는 “3개월가량 지난 뒤 8월 말께 조사 결과가 나오면 보고회 등을 통해 의원께 전달하고 공론화를 통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