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광역시장(왼쪽 셋째)과 권영진 대구광역시장(왼쪽 둘째)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국회 소통관에서 두 광역시의 체육회장, 시의회 의장, 상공회의소 회장, 국회의원 등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대규모 지방재정이 필요한 아시안게임을 시민의견 수렴절차 없이 추진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0일 광주시의 설명을 종합하면, 광주시와 대구시는 2038년 아시안게임을 공동으로 유치하려고 올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김준영 광주시 문화관광체육실장은 “광주와 대구는 모두 하계유니버시아드를 개최했고, 각각 국제육상대회와 국제수영대회 등을 치른 경험이 있다. 스포츠를 통해 동서화합을 이뤄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기에는 지난달 공개된 국가철도망 계획 초안에 광주~대구 달빛고속철도 건설안이 포함되지 않자 아시안게임을 지렛대 삼아 사업을 관철하려는 계산이 깔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방재정이 대거 투입되는 스포츠 메가이벤트를 추진하기 전에 시민 여론조사나 의회 논의 등 시민 동의를 얻는 절차를 생략해 졸속 추진이라는 비판이 적지 않다. 메가이벤트는 중앙정부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는 유리하지만, 자칫 지역에 큰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여론 수렴이 필수다.
“전남의 운명을 바꾼다”던 전남도의 포뮬러원(F1) 국제자동차경주대회는 파탄으로 끝났다.
전남도의 포뮬러원(F1) 국제자동차경주대회는 국가예산(1001억원)과 지방예산(5031억원)을 투입했지만 2010년 첫 대회 이후 4년 만에 1910억원의 누적 적자를 남기고 파탄으로 끝났다. 인천아시안게임 역시 국가예산 5039억원, 지자체예산 1조5460억원을 투입했지만, 1조3336억원의 빚을 남겼다. 광주시 쪽은 “달빛고속철도 건설과 연계해 대회 공동 개최를 급조한 것은 아니다. 2019년부터 아시안게임 개최를 검토했고, 한달 전께 광주광역시의회 의장단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아시안게임 개최 움직임이 코로나19 관련 재난극복·보건복지 예산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민간연구기관인 나라살림연구소가 분석한 ‘17개 광역자치단체 보건예산 현황’을 보면, 광주시의 세출 대비 보건예산 비중은 1.61%(918억원)로 전국 여덟번째에 그쳤다. 박형철 전 소록도병원장은 “도로·경기장 등 사회간접자본에 예산이 집중될 경우 또다시 공공보건예산은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