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자 17명이 발생한 광주 붕괴사고 배경으로 꼽히는 불법 하도급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18일 광주경찰청 수사관들이 동구 학동 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연합뉴스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광주 건물 붕괴사고 원인 등을 수사 중인 경찰이 철거공사 계약 비위 의혹 등을 확인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18일 오전 9시30분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수사관 등 인력 35명을 투입해 광주 동구 학동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주택조합) 사무실과 동구청, 광주지방노동청, 5·18단체 등 10여곳에 대해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하고 있다.
경찰은
시공사인 에이치디시(HDC)현대산업개발이 일반건축물(610개) 철거공사를 서울 한솔기업에 발주했지만 실제 공사는 광주에 있는 백솔건설에서 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불법 하도급 여부와 계약 과정에서의 비위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또
석면제거 공사는 주택조합이 다원이앤씨와 계약했지만 백솔건설이 대인개발의 면허를 빌려 공사한 것으로 나타나 관리 감독기관이 제대로 확인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동구청과 노동청 등을 압수수색 대상으로 삼았다.
경찰은
문흥식 전 5·18구속부상자회 회장이 공사 계약에 관여했다는 등의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5·18단체 사무실도 압수수색 범위에 포함했다. 문 회장은 경찰에 입건된 뒤 미국으로 출국해 도피 의혹도 받고 있다.
광주경찰청은 수사의 방향을 두 갈래로 나눠 사고 원인에 대한 수사는 강력범죄수사대에, 불법 하도급 등 철거공사 관련 비위 의혹 수사는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가 맡겼다.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9명을 입건했으며 강력범죄수사대는 7명을 입건했다. 전체 입건자는 14명(2명 중복)이다.
한편, 9일 광주시 동구 학동4구역 공동주택 재개발 공사 현장에서 철거 중인 5층 건물이 도로 쪽으로 넘어지며 시내버스를 덮쳐 9명이 죽고 8명이 크게 다쳤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한겨레 호남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