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 등으로 제주 관광이 벼랑 끝으로 몰린 가운데 제주도가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정 지정을 정부에 건의한다.
제주도와 제주도관광협회 등에 따르면, ‘무사증 입국 일시 중지’가 시작된 지난 4일 이후 11일까지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은 내국인 14만7346명, 외국인 9184명 등 모두 15만6530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관광객 30만4566명과 비교할 때 48.6%나 감소해 사실상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내국인 관광객은 45.7%, 외국인 관광객은 72.5%(중국인 관광객은 94.9%)나 줄었다.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 10일 66명, 11일에는 76명에 지나지 않았다. 제주를 다녀간 중국인 관광객이 신종 코로나 확진자로 판명돼 임시휴업에 들어갔다 지난 7일 영업을 재개한 제주시 연동 신라면세점과 롯데면세점은 외국인 고객이 거의 없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나 다름없다.
관광객의 급감은 호텔과 전세버스 및 렌터카업계, 대형 음식점 등의 매출은 크게 줄어, 일부 업소들은 무급 휴직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인들이 자주 찾는 제주시 연동 누웨마루 거리도 썰렁한 모습이다.
도는 이런 상황이 닥치자 제주도를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정부에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정으로 지정해주도록 건의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다.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은 2017년 6월 도입된 제도로 특정 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에서 해당 산업의 위기로 대규모 실직, 휴업, 폐업 등 경제 여건이 나빠지면 시·도지사는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관할 행정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은 지난 2018년 4월 한국지엠이 공장 폐쇄를 결정한 전북 군산이 처음 지정된 바 있다.
특별지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은 실직자 재취업 및 이직 알선을 포함한 창업 지원과 고용 안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 소상공인은 자금 보조와 융자 등을 확대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원희룡 지사는 “제주지역은 경기 침체에 이어 신종 코로나 국면까지 겹치며 아이엠에프 사태 못지 않은 상황이다.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