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제주관광서비스노동조합이 25일 오전 제주도청 앞에서 벼랑으로 몰리고 있는 제주지역 관광서비스 노동자들을 위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제주시내의 한 특급호텔에 룸메이드(객실 여성청소원) 31명을 파견하는 한 협력업체는 코로나19 사태로 관광객이 급감하자 최근 26명을 계약만료로 해지했다.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 특급호텔들도 사정이 비슷하다. 서귀포시내와 성산포 지역 호텔들은 직원들에게 5일~2주일 동안 일방적으로 무급휴직을 하고 있다. ㄱ호텔은 ‘15일 근무 15일 휴무’로 계약서를 쓰게 하고 임금의 50%를 지급하는 한편 예약률이 높아지면 휴무 기간에도 나와 근무하게 한다. 그러나 추가 근무수당은 주지 않는다. ㄴ호텔은 근무시간을 줄여 직원들을 낮 12시에 퇴근하도록 한 뒤 오후에 다시 나오도록 했다.
김은정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제주본부 사무국장은 “20~30명의 근무 인원을 5명 안팎으로 줄인 사례도 많다. 제주관광산업 노동자들이 고용불안과 생계 위협에 내몰리고 있다”며 그동안 수집된 사례들을 공개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제주관광서비스노동조합(위원장 서승환)은 25일 오전 제주도청 앞에서 제주관광서비스 노동자 피해 발표 및 대책 마련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에 지원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로 도내 관광서비스 노동자들은 하루아침에 부당해고에 내몰리고 생활임금이 삭감당하고 있다. 제주도는 즉각 관광산업 노동자를 직접 지원하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원희룡 지사는 지금이라도 실효성 있는 추경예산 편성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제주근로개선지도센터에 대해서도 “불법과 탈법이 이뤄지고 있는 관광노동현장에 대해 즉각 지도감독을 하고 불법적인 정리해고, 강제 무급휴직과 연차 사용 강요 등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관광산업 노동자들에 대한 부당해고 등에 대한 피해사례를 수집하고 있다”며 “제주도와 관계기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하는 투쟁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