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제주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형성 시기가 8천~9천년 전으로 재확인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형성 시기를 놓고 논란이 일자 지난 2016년에 이어 자체적으로 연구를 추진한 결과 형성 시기가 9천년(±1800년)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으로부터 웃산전굴, 대림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을 포함하는 제주시 조천읍과 구좌읍 일대 길이 12㎞에 걸쳐 형성됐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2000년대 초 세계유산 등재 준비과정에서 코타슘-아르곤(K-Ar) 연대 측정 결과를 토대로 20만~30만년 전에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용암동굴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이 연대측정법은 아주 젊은 연대의 측정은 어려운 데다 외국 전문가들이 만장굴 등을 방문해 조사한 결과 2차 퇴적물 등이 없어 20만~30만년 전만큼 오래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세계유산본부 전신)이 2016년 화산 분출물 주변 물질을 채취해 분석하는 ‘방사성탄소연대 및 광여기루미네선스(OSL)’ 연대 측정법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8천년 전이라는 매우 젊은 연대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두 연대 간에 차이가 너무 크게 나타났고, 측정방법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면 형성 시기 논란이 지속해왔다.
이에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형성 시기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 커틴대학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연대측정방법인 ’우라늄-토륨/헬륨 연대측정법’을 적용해 조사한 결과 9천년 전(오차 ±1800년)이라는 연대를 얻었다. 한라산연구부는 이 연구를 위해 만장굴 내부 용암에 박혀 있는 규암에서 저어콘이라는 광물을 분리해 측정했다고 밝혔다.
안웅산 연구사는 “이번 연구로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형성 시기를 명확히 재확인했고, 직접 연대를 측정하기 어려웠던 일부 용암류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연대측정기법을 제시했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