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년 만에 낙동강 하굿둑 수문이 열렸다. 완전 개방 전에 기수역(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수역) 등 수생태계 복원 가능성과 염분 피해 대책 마련 등 연구를 위한 시범 개방이다.
부산시는 “환경부 등 기관 협의체가 지난 6일 밤 10시41분부터 11시20분까지 39분 동안 낙동강 하굿둑 수문 10기 가운데 8번 수문 1기를 시범 개방했다”고 7일 밝혔다. 기관 협의체는 수문 개방으로 바닷물 50만t가량이 낙동강 하류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했다. 바닷물도 하굿둑에서 3㎞ 이내 지역까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다.
기관 협의체는 7일 새벽 1시부터 아침 7시40분까지 1000만t, 오전 11시50분부터 저녁 7시까지 600만t의 강물을 하굿둑 하류 쪽으로 방류한다. 이는 수문 개방에 따라 염분이 섞인 강물을 다시 바다로 내보내는 작업이다.
환경부 등은 이 과정에서 염분 침투 영향을 파악하려고 낙동강 하굿둑의 31개 지점에서 염분 측정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또 기관 협의체는 수문 개방으로 유입된 바닷물 양과 염분 농도 등을 측정하면서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작업에 들어갔다.
송병덕 부산시 하천관리과장은 “기수역 등 수생태계 변화, 염분 유입에 따른 토지 영향 여부 등 분석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결과는 한 달가량 뒤에 나올 듯하다. 결과를 보고 2차 수문 개방 실험 일정을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대현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사무처장은 “이론상의 모의실험 연구가 아닌 첫 실증 실험이라 의미가 남다르다. 이번 실험으로 수생태계 변화의 정확한 자료도 확보할 수 있고, 염분 등 피해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대책 마련에 나설 수 있게 됐다. 낙동강 재자연화의 첫 발걸음”이라고 말했다.
한편, 낙동강 하구 쪽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주민은 수문 개방으로 염전 피해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번 시범 개방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곳이 대저2동으로 추정했다. 대저2동에는 농가 856곳, 2000여명이 농사를 짓고 산다. 송양호 부산시 물정책국장은 “실험을 앞두고 여러 차례 농민들과 만나 의견을 들었다. 농가에 도울 것이 있으면 돕겠다고 했다. 이들의 뜻을 충분히 듣고 정책 등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