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부산 기장군 고리 핵발전소 앞에서 탈핵 희망 국토 도보순례단이 출정 기자회견을 열었다. 탈핵부산시민연대 제공
부산·울산 등 전국의 시민들이 ‘탈핵정책 이행’을 촉구하며 부산에서 서울 광화문까지 국토 순례에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탈핵희망 국토도보순례단은 지난 22일 부산 기장군 고리 핵발전소 앞에서 출정기자회견 한 뒤 서울 광화문으로 출발했다.
도보순례단은 “문재인 대통령은 2년 전 고리 핵발전소 1호기 영구정지 기념식에서 탈핵 국가 출발을 선언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여전히 25기의 핵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또 4기의 핵발전소 건설이 추가로 진행 중이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불법적인 과정으로 승인됐다. 법원도 건설허가 과정의 위법성은 인정했지만, 건설을 허가했다. 밸브 누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신고리 4호기 운영도 허가됐다. 전남 영광의 한빛 1호기에서는 작업자의 착각으로 핵발전소 출력이 급증하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은 규제기관에 알리지도 않았고, 핵발전소를 멈추지도 않았다”고 짚었다.
이어 “핵발전소를 수출하고, 불법을 눈감아주고, 편법을 용인해주고, 다른 핵시설을 늘여가고 있다. 탈핵 사회라 부를 수 없다. 이런 가짜 탈핵 정책은 국민의 삶을 더욱 위태롭게 할 뿐이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켜낼 수 없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탈핵에 대한 국민적 뜻을 모아 성실한 이행을 고민해야 한다. 핵산업계 이익보다 생명의 가치가 우선돼야 한다. 탈핵 사회를 위한 우리의 걸음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탈핵희망 국토도보순례단은 2013년 강원도 삼척 핵발전소 건설 백지화를 위해 성원기 강원대 교수를 중심으로 시작됐고, 지금까지 367일 동안 전국을 걸어서 돌아다니며 탈핵의 당위성을 알렸다. 이번 도보순례는 15번째로 부산에서 출발해 울산, 경북 경주, 대전을 거쳐 서울 광화문까지 29일 동안 539.7㎞를 걷는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