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내년 9월 개최를 목표로 ‘울산국제영화제’(가칭)를 추진한다. 하지만 인근 광역시의 부산국제영화제나 같은 광역시 안의 울주세계산악영화제와 비교해 경쟁력이나 차별성 있는 영화제가 될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된다.
울산시는 9일 '울산국제영화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와 제3차 자문위원회'를 열어, 울산국제영화제의 방향과 기본구상안을 공개하고 세부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과 토론을 벌였다. 울산국제영화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은 부산국제영화제 지석영화연구소가 지난 4월부터 맡아 오는 9월 마무리하게 된다. 시는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내년 9월 첫 영화제 개최를 목표로 올해 하반기 세부추진계획을 세우고 독립 추진기구(법인)를 설립해 집행위원회 등 산하 조직 구성을 마칠 계획이다.
연구용역을 맡은 지석영화연구소는 이날 보고회에서 “울산은 세계적 산업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역량은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일과 삶이 균형을 이루는 생활양식에 대한 시민적 욕구가 지속해서 증대하고 있다. 대중매체인 영화를 중심으로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폭넓은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연관 산업의 성장을 촉진해 지역의 새로운 산업역량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고 영화제 개최의 타당성을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다른 국제영화제와의 중복을 피하고, 지역의 홍보를 위해 매년 9월 중구 태화강지방정원과 성남동 젊음의 거리 등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상영 규모는 처음엔 약 40개국에서 150편(장편 90편, 단편 60편)으로 시작해, 5년 이내에 부산국제영화제 규모인 300편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추천했다.
이와 함께 지석영화연구소는 국내의 기존 영화제 현황을 진단하면서 “주요 영화적 가치들은 기존 영화제들에 의해 모두 선점된 상태다. 현시점에서 국제영화제를 시작한다면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도 했다.
울산시의 국제영화제 추진은 지난해 6·13지방선거 때 송철호 시장이 내건 ‘국제환경영화제 개최’ 공약에서 시작됐다. 지난해 9월 울산시의 국제환경영화제 개최와 관련한 전문가 토론회에선 기존 울주군의 세계산악영화제와 중복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기존 다른 도시의 영화제와 차별성이나 상대적 우위를 기대하기도 힘들고, 축제·행사 예산을 줄이는 추세에 굳이 중복 우려가 큰 영화제가 필요하냐는 목소리도 나왔다.
울산시 국제영화제계 관계자는 "국제영화제를 복합 문화축제로 개최해 울산의 문화 붐을 조성하고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 영상 관련 산업 육성의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