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가 사회적기업에서 물품과 용역을 구매한 비율이 1년 만에 반토막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단체들이 말로만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외치고 뒤로는 사회적기업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부산의 58개 시민사회단체가 가입한 사회적경제 부산네트워크는 10일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사회적기업 이용실적을 요청해 받은 자료를 분석했더니 지난해 총구매액 대비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은 1.9%에 그쳤다. 2017년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 4.4%에 견줘 57%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사회적기업의 구매비율뿐 아니라 구매액도 1년 만에 274억원(30%)이나 감소했다. 2017년 17개 시도의 총구매액은 2조676억원이었고 사회적기업의 구매액은 910억원이었는데 지난해 17개 시도의 총구매액 3조3550억원 가운데 636억원만 사회적기업 물품 등이었다.
17개 시도 가운데 2017년도보다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이 늘어난 곳은 세종·경남·울산·충북·대구·강원·충남 등 7곳이었다. 부산·제주·서울·광주·경기·전북·대전·전남·경북·인천 등 10곳은 1년 전보다 줄었다.
지난해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은 17개 시도 모두 한자리에 머물렀다. 1위를 차지한 세종시는 6.75%였고 나머지는 5% 미만이었다. 경기·전북·대전·전남·경북·인천 등 6곳은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이 1% 미만이었고 이들 가운데 전북·대전·전남·경북은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액이 10억원도 되지 않았다.
기초단체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부산 기초단체 16곳의 총구매액 대비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비율은 5.6%였는데 2017년 8.2%에 견줘 2.6%포인트가 감소했다. 사회적기업에서의 구매금액도 2017년 86억원에서 지난해 65억원으로 21억원(24.4%) 줄었다.
김세윤 사회적경제 부산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사회적기업의 물품과 용역 구매를 권장하는 조례조차 없는 자치단체들이 여전히 많다. 자치단체가 조례를 정해서 총구매액의 5%를 사회적기업 물품과 용역을 구매하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지키지 않는 곳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려고 해도 필요로 하는 제품이 없는 경우가 많고 구매시점이 맞지 않으며 품질과 가격을 만족시키지 않는 등의 애로가 있다”고 해명했다. 사회적기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소득 격차 해소에 기여해 착한 기업으로 불린다.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거나 용역을 맡아 수익을 올린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