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남구 문현동 방향에서 바라본 미군 55보급창 모습. <한겨레> 자료 사진
부산시민 10명 가운데 6명이 부산 동구 범일동 주한미군 55보급창을 돌려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시민사회단체 60여개로 꾸려진 ‘미군 55보급창 반환 범시민운동본부’(운동본부)는 “지난달 29~30일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4.4%가 55보급창 반환에 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55보급창이 동구에 있기 때문에 응답자의 30%가량을 동구 주민으로, 70%는 나머지 구·군 인구수에 비례해 응답자 수를 조율했다.
응답자 64.4%는 55보급창 반환 뒤 시민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산업단지(18.7%), 주택단지(7.7%)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55보급창 반환에 적극 나서야 할 주체로 부산시(35.4%)와 정부(22.4%) 순으로 꼽았다.
운동본부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가 미군 55보급창 반환 시민운동에 속도를 낼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했다. 박재율 지방분권 부산시민연대 대표는 “부산진구에 있던 미군의 하얄리아 기지가 시민공원으로 탈바꿈한 사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시민이 55보급창 환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5보급창은 일제강점기 일제가 군수물자를 보관하려고 만들었다. 해방 뒤 미군이 55보급창을 인수해 보급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규모는 21만7755㎡다. 1995년 시민들은 하얄리아 기지와 55보급창 터 되찾기 운동을 시작했는데, 전략적 가치가 있던 55보급창은 빠지고 하얄리아 부대 터만 반환됐다. 하얄리아 부대 터는 2014년 부산시민공원이 됐다. 진보·보수 구분 없이 뭉친 지역 시민단체들은 지난 5월 운동본부를 출범해 55보급창 반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