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부산 환경단체들이 부산시의 대저대교 환경영향평가서가 부실하다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 환경단체가 대저대교 환경영향평가서 부실 작성 의혹을 제기하며 환경부에 반려를 요구하고 나섰다.
‘습지와 새들의 친구’ 등 부산 환경단체 11곳이 모여 만든 ‘낙동강하구살리기 시민연대’(시민연대)는 15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시의 대저대교 환경영향평가서는 부실하게 작성됐다. 환경부는 즉각 반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연대는 “낙동강하구를 찾는 철새 가운데 멸종위기종의 분포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한 엉터리 평가서다. 조류조사는 4차례에 불과했고, 8시간 만에 조류조사뿐 아니라 포유류, 양서·파충류, 곤충 조사를 함께한 것으로 나왔다.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시간”이라고 주장했다.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지정 규모는 87.28㎢에 달한다.
시민연대는 또 “수박 겉핥기식으로 조사하다 보니, 큰고니와 큰기러기 등 법정 보호종의 정확한 서식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낙동강 하굿둑 남쪽과 본류 쪽을 오가며 서식하는 큰고니와 큰기러기의 비행경로, 비행 높이, 분포 위치 등 주요 조사는 진행하지 않았다. 다리 건설에 따라 철새의 기존 서식처가 사라지거나 쪼개지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하지 않은 부실 평가서”라고 지적했다.
부산시 도로계획과 관계자는 “국책연구기관인 환경정책연구원(KEI)에 의뢰해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평가서를 작성했다. 절차상 하자는 없었다. 환경단체 쪽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중록 ‘습지와 새들의 친구’ 운영위원장은 “양식에 맞춰 짜깁기한 평가서다. 낙동강하구는 세계적인 환경 자산이다. 건설이 시작돼 환경이 파괴되면 되돌릴 수 없다. 시는 낙동강하구 관련 개발계획을 제고해 현명하게 이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강서구 식만동~사상구 삼락동을 잇는 대저대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총 길이 8.24㎞의 왕복 4차로로 올해 착공해 2024년 완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철새 서식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대저대교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