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최상류인 봉화군 석포면에 자리잡은 영풍석포제련소 간부가 대기오염물질 측정자료를 조작하는데 관여한 혐의로 검찰에 구속됐다. 멀리 보이는 제련소에서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대구지검 서부지청은 영풍석포제련소의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한 자료를 조작하는데 관여한 혐의(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위반)로 제련소 상무 ㅎ씨를 구속했다고 21일 밝혔다. 또 제련소에서 오염물질 측정을 위탁한 업체 이사 ㅂ씨도 함께 구속됐다.
이들은 2016년부터 3년 동안 석포제련소 대기오염물질 측정자료 4400여건 가운데 40%인 1800여건을 허위로 기록하거나 배출허융기준치 이내로 낮추는 등 자료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환경부 기동단속반이 최근 영풍석포제련소에서 자료조작을 적발한 뒤 검찰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풍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을 감시해온 ‘낙동강사랑 환경보존회’ 이태규 회장은 “오염물질을 배출해도 수치를 조작해 그동안 잘도 빠져 나갔다. 지금까지 저지른 만행에 대해 죄값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지난 4월5일 환경기준치를 넘어선 폐수를 흘려보낸 영풍석포제련소에 대해 48년만에 처음으로 조업정지 20일 처분을 내렸었다.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자리잡은 영풍석포제련소는 1970년부터 아연을 생산해왔다. 현재 아연 생산량은 연간 36만톤으로 세계 4위를 차지한다. 이 제련소는 영풍문고와 함께 재계 26위로 손꼽히는 영풍의 계열사다. 영풍석포제련소에는 1200여명이 근무하며 이 가운데 상당수가 지역주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지역 주민 1100만명의 젖줄인 낙동강 최상류에서 가동중인 영풍석포제련소에서 최근 들어 환경오염 사고가 잦아지면서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에서 제련소 폐쇄를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