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창업중심 도시 부산’을 위해 산업별로 특화된 지구를 지정했다.
부산시는 25일 “미래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안정적인 지역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부산 창업촉진지구’를 지정 고시했다”고 밝혔다. 창업촉진지구는 민간 창업생태계 중심으로 업체 등 상호교류와 협력, 집적화가 이뤄지도록 시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앞서 시는 지난 4월 지구 지정과 지원을 담은 ‘부산시 기술창업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이어 시민 의견 수렴과 공청회 개최, 기술창업자문위원회 의견 검토를 거쳤다.
지정 대상지는 산업별로 특화된 센텀 지구(정보통신기술·콘텐츠·게임·회의전시관광), 서면·문현 지구(블록체인·금융기술), 대연·용당 지구(대학·연구개발·청년문화), 부산역·중앙동 지구(서비스·물류·전자상거래·해운·항만), 사상스마트시티 지구(첨단제조), 영도 지구(해양산업) 등 6개 지구다. 6개 지구 총면적은 2833만㎡ 규모다. 선정기준은 접근성, 창업 인프라 집적도, 특화산업 연계, 장기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했다.
현재 6개 지구 안에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센텀기술창업타운, KRX·IBK창공, 위워크, 부산창업지원센터·부경대 드래곤밸리, 크리에이티브 샵·부산유라시아플랫폼,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 등 국내외 창업기업을 무료로 입주시켜 시장 진입과 성공을 돕는 전문 창업기업 지원 앵커(핵심) 시설 20여곳이 운영되고 있다. 시는 앵커 시설을 중심으로 신생기업의 집적화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인큐베이팅(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창업촉진기구는 향후 ‘창업 중심도시 부산’의 밑그림이 될 것이다. 실리콘 밸리가 1960년대부터 50여년 동안 성장해 세계적인 신생기업 메카로 자리매김했다. 시도 창업촉진기구를 통해 장기적 관점에서 민간 중심의 창업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