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부산 부산진구의 주한 미국영사관 앞에서 적폐청산·사회대개혁 부산운동본부가 정부에 호르무즈해협 한국군 파병을 철회하라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부산과 전북의 시민단체가 정부의 호르무즈해협 한국군 파병 결정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적폐청산·사회대개혁 부산운동본부는 22일 부산 부산진구의 주한 미국영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호르무즈해협 한국군 파병 결정은 이란 정규군 사령관을 폭사시킨 미국의 만행을 방조한 결정이다. 정부는 당장 파병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부산운동본부는 “정부가 우리 군 단독 활동, 국민과 선박보호 임무라고 한정했지만 결국 미국의 부당한 요구에 굴복한 것이다. 이슬람세력의 표적이 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을 위해 국민 안전이 위협받게 됐다. 미국의 강요에 굴복해 나라의 존엄과 정의를 내려놓은 부끄러운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운동본부는 또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우리 정부에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호르무즈해협 파병을 노골적으로 협박했다. 대북관광 발표도 미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으름장까지 놓았다. 부당한 내정간섭이다. 정부는 해리스 미국대사를 당장 추방하라”고 했다.
김동윤 평화통일센터 하나 대표는 “우리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미는 한국군 파병을 결단코 반대한다. 주권국가인 우리나라에 파병을 압박하는 미국에 분노한다. 정부는 미국의 눈치를 보지 말고 독자적인 남북관계 구축, 파병철회에 적극 나서라”고 말했다.
㈔전북겨레하나도 이날 “정부의 이번 결정이 오히려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고, 국제평화에 반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며 호르무즈해볍 파병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우리는 촛불로 이 정부를 세웠다. 촛불의 정신은 평화다. 70년의 전쟁을 아직도 끝내지 못한 우리는 이 땅에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정부도 국제사회에 이를 지지해달라고 호소해 왔다. 이번 결정은 지독한 이율배반이며 촛불정신의 추락이다. 미국의 부당한 압력에 굴복해 저들의 침략 행위에 동참하는 행위를 동맹의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잘못된 역사를 더 이상 되풀이하지 말자”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 21일 미국과 이란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는 호르무즈해협에 청해부대를 독자 파병하기로 했다. 미국 주도의 호르무즈 호위 연합체인 국제해양안보구상(IMSC)에는 참여하지 않고, 아덴만에 나가 있는 청해부대의 작전 범위를 호르무즈해협까지 넓히기로 했다. 이에 대해 미국 정부는 환영했고, 이란 정부는 반대했다.
김영동·박임근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