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민주공원 수장고에 민주주의 운동 사료 등이 쌓여 있는 모습. 김영동 기자
부산의 민주주의 운동 역사 자료와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공개 토론회가 열린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기념사업회)는 “6일 오후 2시께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민주항쟁기념 학술 토론회 ‘왜 부산에 민주주의 사료관이 필요한가’를 연다”고 5일 밝혔다.
김인철 부산시 총괄건축가가 ‘부산지역 민주사료관 건립의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기조 발제한다. 이수성 부산대 교수(문헌정보학과)는 ‘스마트 민주사료관의 구축 방안’을, 유경남 전남대 5·18연구소 연구원은 ‘민주공원 사료관 건립과 운영의 과제’를 각각 발표한다. 이어 김종기 민주공원 관장이 좌장을 맡아 홍순권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장, 안용대 가가건축사사무소 대표, 홍순연 삼진이음 이사, 박미순 전교조 부산지부 조직선전국장이 종합토론을 이어간다.
민주항쟁기념 학술 토론회 알림글.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제공
기념사업회는 “민주주의 역사 자료와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기 위한 토론의 장이다. 내부 자문위원회가 아닌 각 분야 전문가와 시민, 행정기관이 함께 하는 공개 토론회는 이번이 처음이다”고 설명했다.
현재 부산의 민주주의 운동 역사 자료와 기록물 등 7만여점은 중구 영주동 부산민주공원 민주항쟁기념관 수장고에 있다. 이들 사료는 좁은 수장고에 여유도 없이 빽빽하게 쌓여 있는 수준이다. 새로 들어온 자료들은 사료 보관실에도 두지 못해 사무실 빈 공간 등지에 쌓아둔 상태다. 이에 민주공원은 지난 2007년부터 전문적·체계적인 사료 보존을 위해 부속 사료관 건립을 추진했다. 국비와 시비를 지원받아 올해 ‘기본·실시설계’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다. 새로 지어질 부속 사료관은 3528㎡ 면적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다. 예산은 138억원이 들어가며, 준공은 2024년이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