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부산 부산진구 미국 영사관 앞에서 부산 시민단체가 21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정부가 미국에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철회를 요구해야 한다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 시민단체들이 21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철회를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부산참여연대 등 130여개 단체가 가입한 일본방사능오염수규탄 부산시민행동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는 18일 부산 부산진구의 미국 영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정부는 한미정상회담에서 일본 오염수를 지지한 미국에게 강하게 항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단체는 “주변국의 거센 반대에도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려고 한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뒷배를 믿고 안하무인하는 일본 정부를 강력히 규탄해야 한다. 방류계획을 철회하도록 정상회담에서 미국에 압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두 단체는 또 “한일 양자간 협의체 구성은 결국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인정하는 것이 아닐지 우려된다. 한국이 나서서 방사능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선전을 대신 해주는 모양새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본과 협의하겠다는 방향 자체가 문제다”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대북정책도 함께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 대북적대 정책을 내려놓는 결단을 해야 한다. 외세가 아닌 민족의 단합된 힘을 믿고 평화와 통일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뜻을 미국 정부에 분명히 해야 한다. 부당한 처사에 강하게 반대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도 했다.
조석제 민주노총 부산본부 수석부본부장은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다. 일본 정부가 결정을 철회할 수 있도록 문재인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전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의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성 물질 오염수 125여t을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아래로 낮춘 뒤 30년에 걸쳐 바다에 내보낸다는 계획이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