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장애는 우리가 인간이라는 증거

등록 2021-08-13 05:00수정 2021-08-13 15:47

장애인이 직접 장애 이야기 쓴
미국 뉴욕타임스 온라인 연재물
먼저 장애 경험한 선배들의
생동감·유머 넘치는 경험담

우리에 관하여
장애를 가지고 산다는 것
피터 카타파노, 로즈마리 갈런드-톰슨 등 지음, 공마리아·김준수·이미란 등 옮김 l 해리북스 l 2만2000원

피터 카타파노는 <뉴욕타임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연재물을 여럿 탄생시킨 베테랑 편집인이다. 2016년 8월, 그는 장애인이 직접 쓴 장애인 이야기를 담은 시리즈를 선보여 독자들의 열렬한 반응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우리에 관하여>는 이 시리즈 가운데 초반 60편을 묶어 낸 책이다. 책 제목을 장애인 인권운동의 모토 ‘우리 없이 우리에 관하여 말하지 말라’에서 따온 것 역시, 당사자성을 강조한 연재물의 성격과 닿아 있다.

과연, 장애인이 직접 쓴 장애인 이야기는 신세계 별천지다. 분명 같은 세상을 살고 있는데 우리가 서로 얼마나 다른 경험과 고민을 하며 살아가는지 실감난다. <한낮의 우울>의 저자로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임상심리학자이기도 한 앤드루 솔로몬은, 놀이공원에 ‘공포 VR5150’이라는 놀이기구가 생긴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란다. 5150은 정신질환자의 강제구금을 가능하게 하는 캘리포니아주의 법률 번호로, 이 놀이기구는 미치광이들로 가득한 정신병원에 강제 수감되는 과정을 가상현실로 체험하도록 설계됐던 것이다. 그는 두려움에 휩싸인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깔보고, 피하고, 나아가 해코지하게 자극할 수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정신질환자들이 병을 숨기거나 입원을 기피해 증세가 악화할 수 있고, 편견을 내면화해 스스로를 ‘괴물’이라고 혐오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더 큰 문제다.

나치가 처음 집단학살한 것이 30만 명의 장애인이라는 사실은 장애인의 시각으로 다시 보면 ‘현재진행형’인 이야기다. 우생학을 근거로 장애인 여성의 불임시술을 강제한 건 미국에서도 벌어진 일이다. 장애인이 장애인을 낳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확해진 오늘날에도, 우리는 산전 태아검사로 장애가 판별되면 암묵적 합의로 낙태를 선택한다. 필자 중 한 명인 제니퍼 바틀렛은 “장애인의 삶은 살 만한 가치가 없다는 인식과 끊임없이 싸웠던” 임신과 출산 과정을 들려준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의사 셰리 블로웻은 의사 명찰을 버젓이 달고 있는데도 자신을 환자로 오해하는 이들을 부지기수로 만난다. “의사 양반, 딱 봐도 당신 문제가 나보다 더 심한데…”라며 그에게 치료받길 망설이는 환자도 있다. 변호사인 캐럴 스타인버그는 휠체어에 앉아 높디 높은 판사석 앞에서 키가 큰 변호사와 3자대면을 해야 할 때마다 난감하다.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 목사인 신디 존스는 “믿음이 있었다면 (당신의 장애가) 치유됐을 것”이라며 “함께 기도하자”고 두 손 꼭 잡는 사람들과 종종 마주친다. “내가 목사예요”라고 알려주는 대신 “괜찮아요, 아무튼 고마워요”라며 지나치지만, 장애를 치유받아야 할 죄라고 여기는 편견은 그에게 상처를 준다.
&lt;우리에 관하여&gt;의 저자 중 한 명인 앨리스 셰퍼드는 창작집단 ‘키네틱 아트’의 예술감독이자 무용수이며 안무가로, 이 책에서 자신이 휠체어와 함께 무대에서 춤출 때 겪는 감정의 변화와 신체의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들려준다. 해리북스 제공
<우리에 관하여>의 저자 중 한 명인 앨리스 셰퍼드는 창작집단 ‘키네틱 아트’의 예술감독이자 무용수이며 안무가로, 이 책에서 자신이 휠체어와 함께 무대에서 춤출 때 겪는 감정의 변화와 신체의 움직임을 생동감 있게 들려준다. 해리북스 제공

<우리에 관하여>는 오늘도 장애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일하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이야기다. 편견에 맞서고 차별과 싸우는 것은 그들의 일상이자 숙명과도 같지만, 결코 슬프거나 비극적이지는 않다. 생동감 있고 유머 넘치는 글들로 가득한 이 책은 “먼저 장애를 경험 중인 선배들의 좌충우돌 경험담”이라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우리 대부분이 노화로 인한 장애를 겪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수록 내 몸과 마음에는 확실이 많은 장애가 생겨날 것이다. 피부와 근육은 늘어지고 와해될 것이다. 내 장은 쉽게 탈이 날 것이고 주변은 어수선해질 것이다. 내 치아와 머리카락은 빠질 것이고 소중한 추억들이 기억나지 않게 될 것이다.”(엘리엇 쿠클라) 그러니 장애는 비극이 아니라 우리가 인간이라는 증거다. 결국 <우리에 관하여>의 ‘우리’는 장애인을 넘어 ‘모든 인간’인 셈이다.

이미경 자유기고가 nanazaraza@gmail.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