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이삼십대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아달라’

등록 2021-10-08 04:59수정 2021-10-08 11:37

[한겨레Book] 정인경의 과학 읽기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하미나 지음 l 동아시아(2021)

18 세기 전까지 유럽의 과학은 남성과 여성을 구분조차 하지 않았다 . 인간은 오직 남성이었기에 남성과 여성을 이분화하는 범주가 없었다 . 해부학과 현미경의 등장으로 남녀의 신체적 차이가 드러나면서 성차이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 19 세기에 여성참정권 운동의 확산은 생물학적 성을 둘러싼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 하지만 과학계는 해부학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 성차이의 생물학적 지표로 여성의 난소가 지목되자 , 정신질환을 앓는 젊은 여성에게 난소적출술이 강제로 시술되었다 . 20 세기에 들어와선 난소의 역할을 여성 호르몬이 대신했다 . “ 용감한 남성호르몬과 우울한 여성호르몬 ” 으로 불리면서 우울증이나 히스테리 , 월경과 폐경 증후군과 같은 모든 여성 질병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었다 .

이러한 이야기가 여성 잔혹사 같지만 과학의 역사에서 성차별주의와 여성 혐오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 오늘날까지도 ‘ 젠더 ’ 라는 사회문화적 관념은 현대 과학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과학기술학 (STS) 에서는 여성 문제가 과학 연구에서 배제되는 것을 ‘언던 사이언스’(undone science) 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 과학적 지식의 생산과정에서 어떤 연구는 수행되고 , 어떤 연구는 수행되지 않는 ‘ 지식의 정치 ’ 가 작동된다 . 미국에서 유방암 진단과 관련한 여성운동이 연구의 방향성을 바꾼 사례가 있는데 이러한 젠더 정치와 언던 사이언스를 과학기술학이 다룬다 .

나는 하미나의 <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 을 과학기술학의 관점으로 읽었다 . 이 책이 사회정치 , 사회과학 , 사회학 , 여성학으로만 분류되는 것이 의아한데 한국 여성 , 그중에서 이삼십 대 여성의 우울증 연구는 언던 사이언스이며 과학기술학의 연구 주제라고 생각한다 . 표준화와 정상을 고집하는 현대 의학은 여성이 정신질환으로 겪는 고통에 무관심하다 . 백인 남성 의사와 과학자가 만든 우울증 진단체계는 한국 여성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 젊은 여성 연구자 하미나의 문제의식은 이러한 정신의학이란 지식의 생산과정에서부터 출발한다 . 그리고 서른 명 정도의 이삼십 대 여성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대 의학과 약물치료의 한계를 드러내고 , 질병의 원인에 대한 사회적 맥락을 탐색한다 . 구체적인 상황을 이야기하는 한 명 한 명의 목소리는 우울증의 고통을 이해하는 뜻깊은 성찰의 시간을 준다 . 이 책은 한국 이삼십 대 여성의 일상을 이론화하는 한 편의 연구보고서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

하미나는 ‘ 이삼십 대 여성의 고통을 보아달라 ’ 는 것이 아니라 ‘ 이삼십 대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아달라 ’ 고 당당히 요구한다 . “ 젊은 여성들의 우울증을 탐색하는 것은 고통에 대처하는 새로운 문화를 찾아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위기 상황에서 새롭고 자발적인 연대가 이루어지고 , 타인의 고통을 폄훼하거나 섣불리 지워버리지 않고 , 취약함을 공유하고 내보이는 것 , 상실한 것을 충분히 애도하는 것 . 그러기 위해서는 폐허 위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 이제 막 시작한 그녀들의 이야기가 사라지지 않고 , 새로운 사회운동의 흐름이 되길 바란다 .

과학저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