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생각] 쌀알처럼 단순하고 아름다운 벼농사 이야기

등록 2022-05-20 04:59

김소영의 그림책 속 어린이

모모모모모

밤코 글·그림 l 그림책향(2019)

오래전 남쪽으로 가을 여행을 갔다가 ‘ 황금 들녘 ’ 한복판을 지난 적이 있다 . 차를 세우고 친구들과 함께 노랗게 부풀어 오른 논을 넋 놓고 바라보았다 . 마침 햇볕이 따가울 정도로 쨍쨍해 “ 저거 이대로 밥 되는 거 아니야 ?” 하고 실없는 농담을 했다 . ‘ 벼 ’ 라는 낱말을 대하면 이따금 그때가 떠오른다 . 가을 논이 꼭 카스텔라 같다고 생각하면서 이런 비유밖에 못 하는 자신을 탓하던 때가 .

< 모모모모모 > 를 읽고 처음 떠오른 생각은 ‘ 도대체 그림책 작가들이란 !’ 하는 것이었다 . 모가 자라 벼가 되고 쌀이 되는 과정을 이렇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니 !

좋은 그림책들이 다 그렇듯이 이 책도 표지부터 할 얘기가 많다 . 제목만 보아서는 무슨 내용일지 쉽게 짐작하기 어려운데다 형광 분홍색으로 쓰여 있으니 호기심이 생긴다 . 형광 분홍색이란 , 벼농사와는 가장 거리가 먼 색깔 아닌가 ? 예고편 격인 면지의 모 그림을 지나 본문이 시작되면 곧장 주인공들이 등장한다 . 손발이 크고 어깨가 넓은 농부와 모판 다섯개 . 그리고 “ 모 ” 라는 글자 다섯개다 . 모 위의 ‘ 모 ’ 라는 글자가 갑자기 새로워 보인다 . 너무나 모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 다음 장면에서 농부는 땀 흘려 모를 심는다 . “ 내기 내기 내기 ” 다 . 농부와 모가 내기를 하는 것만 같다 .

모가 자랄 때 피도 자란다 . 농부가 피를 뽑을 때 글자는 “ 피 뽑 피 뽑 피 ”. 나는 이 장면이 제일 좋다 . 글자들이 비스듬하게 놓인 것도 재미있지만 , 소리 내어 읽으면 ‘ 삐뽀삐뽀삐 ’ 와 비슷해진다 . 피가 무엇인지 모르는 어린이도 이 장면을 보면 피가 벼농사를 방해하는 풀이라는 것 , 피를 뽑으려면 구급차가 출동할 때처럼 농부가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벼들이 의젓하게 자란 논에는 오리가 지나다닌다 . 그런데 평화도 잠시 , 큰바람이 불어 농부의 모자가 날아가고 오리 가족이 허둥댄다 . 벼들도 쓰러졌다 . 여기에는 어떤 글자가 쓰여 , 아니 그려져 있을까 ? 이 그림책에서는 글자도 그림이라는 점을 참고해서 상상해보기 바란다 .

벼를 튼튼하게 묶을 때 , 벼가 ‘ 황금 들녘 ’ 을 이루었을 때 , 벼를 베고 탈곡해 쌀알을 포대에 담을 때 , 심지어 볏짚 위에서 참새가 놀 때도 각각의 그림에 걸맞은 글자들이 책 읽기를 한층 즐겁게 한다 . 농부의 한 해라는 오래된 소재를 다루는데 뻔한 장면이 하나도 없다 . 어려운 내용도 전혀 없다 . 겉겨를 벗겨낸 하얀 쌀알처럼 단순하고 아름답다 . 이런 그림책은 정말 귀하다 .

이 그림책에서 어린이는 딱 한 번 , 밥을 먹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 그것을 지켜보는 농부의 얼굴에는 아이들에게 좋은 것을 주는 어른의 자부심이 가득하다 . 판권에 적힌 ‘ 사용연령 3 세 이상 ’ 이라는 말이 새삼스럽게 눈에 들어왔다 . 이 어린 독자들을 만족시키려고 작가는 농부가 그랬듯 애면글면했을 것이다 . 어린이도 정성껏 만든 좋은 것을 알아본다 . 그림책이 어린이들에게 사랑받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

독서교육 전문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