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활동가·연구자가 톺아본 현실
체불, 폭력, 공짜노동, 숙식비…
이주노동자에 기대는 농촌과 농업
값싼 노동력 아닌, 함께 살아가기
체불, 폭력, 공짜노동, 숙식비…
이주노동자에 기대는 농촌과 농업
값싼 노동력 아닌, 함께 살아가기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과 함께한 1500일
우춘희 지음 l 교양인 l 1만6000원 김씨네는 배추농사를 지었다. 부부가 함께 일하고 농번기에는 일손을 빌렸다. 늦봄, 겨울 두차례 수확을 했다. 한여름엔 땅을 묵히고 부부도 쉬었다. 60대 중후반 들어 힘에 부쳤다. 놉 아주머니들도 ‘7080’이 되어 더는 못하겠다고 손사래 쳤다. 이주노동자를 쓰렸더니 두어달 돈 안 주는 농가를 꺼렸다. 결국 배추를 접고 깻잎 농사로 바꿨다. 12개월 꽉 찬 돈벌이를 원하는 이주노동자 맞춤이다. 4~9월, 8~4월 이모작인데, 파종, 곁순치기, 수확 등 1년 내내 쉬지 않고 돌아간다. 면적에 비해 수입이 짭짤하다. 돈 회전도 빨라 매달 월급을 주는 데 지장이 없다. 옆 마을 나씨는 고추 농사에서, 박씨는 사과에서 깻잎으로 바꿨다. 뇌졸중 후유증, 기후변화, 채산성 등 바꾼 동기는 다르지만 이주노동자들을 쓰는 건 똑같다. 전국 농촌이 비슷하다. 이들 없이 유지되지 않는다. 이주노동자들이 일시적으로 일손을 돕는 게 아니라 농촌과 농업 구조 자체를 바꾸고 있다. <깻잎 투쟁기>는 이주노동자가 농사 중추가 된 현실, 농업인과 관계 당국이 그들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그 사이의 거리를 이야기한다. 인권활동가이자 연구자인 지은이는 직접 깻잎 밭에서 일하면서 이주노동자와 농장주를 만나고, 새벽 인력사무소를 찾아가 이주노동자 후신인 미등록 이주민(불법 체류자) 세계를 들여다보았다. 기자 뺨치는 현장 취재다. 까놓자면 우리나라는 그들을 사람대접하지 않는다. 이 년, 저 년 부르고 임금 떼먹고, 심지어 성폭행까지 난리도 아니다.(물론 다 그렇지는 않다.)

유엔(UN)이 정한 세계 이주노동자의 날인 지난해 12월19일 오후 서울 종로 종각 앞에서 1년 전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사망한 캄보디아 이주노동자 속헹씨의 추모제와 이주노동자 대회가 열리고 있는 모습. 우리나라 농업은 이주노동자 없이 유지될 수 없지만, 정작 이들의 인권은 구조적으로 유린당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