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은희경 “나의 질문이 27년 동안 독자들에게 가닿았다는 게 가장 큰 기쁨”

등록 2022-05-30 15:51수정 2022-05-31 02:52

은희경 첫 장편 소설 <새의 선물> 100쇄 출간
‘앉을뱅이 책상’ 등 시대착오적 차별 표현 수정
&lt;새의 선물&gt; 100쇄 출간 기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은희경 작가. 문학동네 제공
<새의 선물> 100쇄 출간 기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은희경 작가. 문학동네 제공

“<새의 선물>이 문학동네소설상에 선정돼 문학동네 사무실에 갔을 때 편집위원들이 축하해준다고 근처 칼국숫집에 함께 갔어요. 거기서 당시 강태형 (전) 대표가 십만부 팔리면 차를 사주겠다고 해서 다들 큰 소리로 웃었던 기억이 나요. 100쇄를 찍었다는 사실도 그렇지만 그게 27년에 걸쳐 쌓였다는 게 각별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은희경(64)의 첫 장편소설이자 은 작가를 한국 문단의 중요 작가로 자리 잡게 한 <새의 선물>이 100쇄를 찍으면서 개정판을 냈다. 그동안 세번 바뀌었던 표지가 초록색 장정으로 다시 산뜻하게 바뀌었고 작품 속 일부 단어와 표현 등도 다듬었다. 은 작가가 강 전 대표로부터 차 선물을 받은 건 최근이 아니라 책이 나온 해 연말. 그만큼 출간 당시부터 많은 독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이 책은 저에게 굉장한 빛이자 동시에 그늘이었어요. 이 책 덕분에 작가 생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었던 반면 첫 장편이 저의 대표작처럼 평가받으며 어떤 한계 안에 저를 가두는 느낌도 들었죠. 가끔은 ‘지금 내가 쓴 작품이 훨씬 더 잘 썼는데 왜 그 책으로만 평가하나’라는 아쉬움도 컸죠. 그래도 (이번 100쇄 출간은) 27년 전 내가 던진 질문을 독자들이 (지금까지) 유의미하게 받아준다는 의미에서 작가로서 가장 큰 보람입니다.”

30일 오전 서울 서교동 북카페에서 기자들과 만난 작가는 “<새의 선물>이 그에게 ‘문운’을 가져다준 책”이라고 말했다. 비단 상을 타서뿐만이 아니라 그가 쓴 책 15권 중 “가장 재밌게 가장 빨리 쓴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아이 둘을 키우며 평범한 주부로 살다가 1995년 신춘문예에 당선되고도 예상과 달리 글 청탁 등 쓸 기회가 없자 낙심하던 그가 산중의 절에 들어가 <새의 선물>을 완성했다는 건 알려진 이야기다.

작가는 이번 개정판을 내면서 이 작품을 처음으로 다시 통독했다고 한다. “습관처럼 작품을 볼 때마다 계속해서 고치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내 손을 떠난 작품은 다시 안 봐”왔는데 이번 개정판을 작업하면서는 작심하고 읽었다. 그리고 전체적인 얼개와 내용은 그대로 두면서도 일부 단어와 표현들을 바꿨다. ‘앉을뱅이 책상’은 ‘좌식책상’으로, 등장인물 중 ‘곰보아줌마’는 그냥 ‘아줌마’라고 바꿨다. 초판 출간 당시는 통상적으로 쓰이던 차별적 표현들을 교정한 것이다. “작품을 다시 읽으며 장애나 여성 비하 등의 표현들이 90년대에는 무심히 쓰였구나 새삼 확인하면서 이제 그런 말이 쓰이지 않는 게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남녀가 사귀면 다음 순서는 당연히 결혼이고, 단지 나이 들었다는 이유로 남녀관계를 ‘불륜’이라고 규정짓는 관념들도 마찬가지죠. 하지만 변화된 현실을 단순히 반영하는 게 아니라 작품 속 시대의 분위기를 살리면서 잘못된 것들만 거둬내는 게 개정판의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그는 작품 속의 표현을 바꿔야 할 만큼 세상이 바뀌기도 했지만 여전히 바뀌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나 개인으로서 자신의 생각을 고유하게 지키며 살 수 있는 권리 등은 지금도 계속해 질문해야 하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문학은 지금도, 앞으로도 이런 질문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겠죠.”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사진 문학동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