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진정한 기술선진국은 도전적 질문에서 시작된다

등록 2022-06-04 09:00수정 2022-06-04 17:59

이코노미 인사이트 _ Economy insight
경제와 책 | 최초의 질문: 기술선진국의 조건
이정동 지음 | 민음사 | 1만7천원

▶이코노미 인사이트 구독하기 http://www.economyinsight.co.kr/com/com-spk4.html

한 사회의 테크놀로지(기술)는 기업과 산업, 경제를 이끌고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의 일상 삶을 바꾸지만 그 역동적 진화와 변동 과정은 우리 눈에 잘 포착되지 않는다. 기술경영·산업공학을 공부하는 이정동 교수(서울대 공과대학)가 2015년부터 연쇄적으로 세상에 펴내는 책들은 이 기술혁신의 총체적인 진화 과정을 흡인력 있게, 또 호소력 있게 보여준다. 이번 세 번째 책(<최초의 질문>)은 경제와 과학이 짜임새 있게 접합되고 교직된, 경제·경영학자들이 쓴 책에서는 보고 듣기 어려운 이야기와 현장의 서사로 꽉 차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

과거 한국의 산업과 기술은 선진국의 발자국이 뚜렷이 찍혀 있는 눈밭을 걸었다. 앞사람보다 덜 쉬고 더 악착같이, 더 빠르게 걷다보니 어느덧 발자국이 안 보이는 지점에 이르렀다. 이제 앞선 이의 발자국이 보이지 않는 설원, 즉 ‘화이트 스페이스’ 지점에 당도해 있다. 여기가 곧 저자가 말하는 “최초의 질문이 이끄는 광막한 화이트 스페이스, 바로 기술선진국의 문턱”이고, 우리 한국 산업·기술이 지금 서 있는 장소다.

저자는 2015년 처음 펴내어 화제를 불러일으킨 <축적의 시간> 이후 <축적의 길>을 거쳐, 이제 기술선진국 문턱에 이른 한국에 ‘도전적 질문’이 이끄는 축적 시스템을 주창한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디지털·그린 뉴딜,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신산업, 혁신, 융합으로 온통 어지럽고 분주한 우리 시대에 한국이 세계와 인류에 무엇을 제시할지 차분하게 돌아보게 한다.

모든 기술혁신은 ‘최초의 도전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최초의 질문은 미래의 내 모습을 상상하는 의지와 야망을 담고 있다. 이 질문으로부터 희미한 첫 번째 대답을 구하고, 개선하고, 좋은 쓰임새를 찾는 스케일업을 이어가다보면 마침내 눈사태처럼 지금까지 있던 지형을 완전히 뒤엎고 바꾸는 혁신이 탄생한다.” 2020년대 한국 산업·기술에서 축적 과정(시간과 길)을 시작하려면 반드시 도전적인 최초의 질문을 제출해야 한다.

“최초의 질문을 척척 만들 수 있는 기막힌 방법 또는 좋은 질문을 가늠할 유일한 기준 같은 것은 없다.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작은 질문이라도 던져보고, 그에 따라 새로운 시도를 하고, 비판받고, 질문을 수정하는 경험을 많이 쌓아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술은 변화하면서 성장하고, “자신의 역사와 스스로 싸우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는” 진로를 밟는다.

저자가 말하는 기술선진국은 단지 국민소득이 높은 국가가 아니다. 일국의 산업·경제를 넘어선다. 단순히 시장에서 잘 팔리는 기술 제품이나 ‘돈 버는’ 기술을 넘어, 2020년대 ‘기술 한국’이 세계와 인류에 무엇을 질문하고 제시할지를 고민한다. “더 나은 인류의 삶과 지속가능한 지구의 모습에 대해 질문을 제시하고 해답을 구하는”, 문명사적으로 넓은 시야와 인문철학적 두께가 책 전편에 느껴진다. “한국의 궁극적인 지향이 그저 돈이 많은 고소득 국가일 수 없다. 저마다 자신만의 재능을 발견하고 역량을 스케일업 하면서 성장해나가는 진정한 의미의 선진국으로 가야 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테크놀로지 과학기술을 다루는 흔한 딱딱한 책을 벗어나 인간의 미래에 대한 고유한 전망 같은 ‘기술의 인문학적 사유’를 펼쳐 보인다. “우리가 호모사피엔스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려면 살아 있는 한 현재의 우리와 되고 싶은 우리의 사이를 메우려는 도전적 최초의 질문을 계속 던져야 한다. 기술의 시대에 인간이 소실되지 않을 유일한 길이다.”

함께 진화하기 위한 질문

이 책의 또 다른 미덕은 시장에서 이기는 데 집착하는 개별 기술·기업을 넘어, 여러 기업과 산업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회·국가 전체가 상호의존하면서 “서로 등을 맞대며” 함께 진화하고 성장하는 최초의 질문과 그로부터 이어지며 확산되는 축적 시스템을 주창한다는 점이다. 어느 한 기업이나 벤처 혁신가가 혼자 돈 많이 버는 도전적 기술혁신이 아니라, 다른 기업과 부문 나아가 우리 사회가 다 함께 성장하는 사회 전체적인 집단적 진화의 과정이다. 이런 부류의 책은 흔히 앞부분을 읽고 나면 슬슬 지루해지고 느슨해지기 십상인데, 시종 유익하고 자극을 주는 때로 위트를 곁들인 이야기로 풍부하다. 그런 과학기술분야 책을 예전에 읽은 기억이 없다. 다소 희귀한 경험이다.

조계완 <한겨레>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