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의 시대
일본 출판의 황금기를 이끈 편집자 가토 게이지 회고록
가토 게이지 지음, 임경택 옮김 l 사계절 l 1만8000원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직후인 1945년 12월 창립한 미스즈 출판사(みすず書房)는 1900년대 초반 설립되어 이미 명성을 구가하던 이와나미 출판사(岩波書店), 헤이본샤(平凡社)와 더불어 일본 인문·학술 출판의 3대 ‘메카’라 불릴 만하다. 특히 미스즈 출판사는 1950년대부터 인문·사회과학 중심의 서양 번역서를 집중적으로 출판함으로써 전후 일본 정신문화에 서양 사상을 접목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이 책은 일본 출판의 ‘벨에포크’ 시대 한가운데서 35년 동안 편집자로 책을 만들었던 가토 게이지(加藤敬事)가 건조하지만 담담한 문체로 써내려간 회고록이다.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좋아해 ‘책으로 가는 문’이 곧 ‘세계로 가는 문’임을 체험한 그는, 막연하기는 했지만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을 ‘편집자’라면 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출판계에 입문한다. 그의 예리하고 섬세한 편집 감각으로 만들어진 목록을 보면 같은 편집자로서 절로 고개가 숙여질 뿐이다. 자신의 전공을 살려 중국사와 한국사 등 동아시아 역사서는 물론, 오규 소라이 전집, 버트런드 러셀 저작집, 그리고 일본 정치학계의 거장 마루야마 마사오의 책을 비롯해 후지타 쇼조, 한나 아렌트, 카를 슈미트, 에드워드 사이드 등 사상가의 만신전에 오를 만한 인물의 책들이 수두룩하다. 더욱이 서구 일변도의 번역서가 소개되던 당시 일본에서 이슬람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선구적으로 소개한 점은 편집자가 얼마나 ‘보편 교양인’–가토 게이지 역시 편집자는 스페셜리스트라기보다는 제너럴리스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으로서 세상물정 모든 것에 감각적인 촉수를 곧추세우고 있어야 하는지를 절감하게 한다.
미스즈 출판사의 도서 자료실 모습. 사계절 제공
초짜 편집자 시절, 그를 지금에까지 이르게 하는 데 각별한 역할을 했던 인물은 미스즈 출판사의 초대 사장 오비 도시토(小尾俊人)–둘의 관계는 독일 유수의 주어캄프 출판사 창업자인 페터 주어캄프(Peter Suhrkamp)와 제2대 사장을 역임한 지크프리트 운젤트(Siegfried Unseld)를 연상케 한다–였다. 민주적인 편집회의의 무용론을 넘어 ‘편집장 독재론’을 옹호한 그는 미국 출판인 제이슨 엡스타인이 말한 “출판은 본래 오두막 산업(cottage industry)”을 실천해 보이기라도 하듯, 출판사 건물이 무너질 것 같다는 관할 경찰서의 연락을 받을 때까지 낡고 궁벽한 곳에 편집자들을 가두어(!) 두었다. 하지만 가토는 그 건물과 그 시절을 “책 만드는 일에 홀렸던 사람들의 꿈의 흔적을 보여주는” 풍경이었다고 회상한다. 이 건물은 일본의 다른 출판사에서 <미스즈 출판사의 구사옥>(2016)이라는 사진집으로도 소개했는데, 흑백사진으로 꾸며진 면면을 보면 굴속 같은 편집부 풍경과 온갖 책들 속에 파묻힌 편집자들을 볼 수 있다. 출판사 명성에 비해 허름한 사옥에 놀란 기자의 질문에 오비는 “책은 건물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가 한 저자에게 “정신은 새롭게, 건물은 낡았지만”이라고 말한 것까지를 염두에 둔다면, 미스즈 출판사 사람들은 ‘정신의 풍요’와 저자, 번역자들과의 ‘정신적 교류’에서 편집자로서의 삶을 만끽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작금의 출판 현실은 일본이나 우리나, 아니 전 세계적으로 ‘책의 전성시대’가 지나간 것처럼 을씨년스럽다. 그럼에도 가토 게이지 같은 편집자들이 ‘텍스트’로 세상을 여전히 부여잡고 있다. 아직도 ‘편집자의 시대’임을 믿는다.
미스즈 출판사에서 열렸던 재고도서전 모습. 사계절 제공
이승우 도서출판 길 기획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