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일리아스’ 천병희본에 도전장 낸 또 하나의 번역본 [책&생각]

등록 2023-06-30 05:01수정 2023-06-30 09:23

<일리아스>를 쓴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일리아스>를 쓴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일리아스
호메로스 지음, 이준석 옮김 l 아카넷 l 3만5000원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의 한국어본으로는 그동안 고 천병희 선생의 번역본이 유일했다. 천병희 번역본은 1982년 처음 출간된 이래 2015년까지 모두 네 차례 개정돼 한국어 독자들에게 <일리아스>를 널리 알렸다. 이번에 천병희 번역본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민 새 번역본이 나왔다. 스위스 바젤대학에서 호메로스 서사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준석 한국방송대 교수가 번역한 <일리아스>가 그 주인공이다. 이로써 <일리아스> 한국어본은 천병희본과 이준석본의 경쟁 체제로 들어섰다.

이준석본은 천병희본과 거의 모든 문장에서 표현을 달리한다. 이를테면 <일리아스> 제1권 첫 문장을 천병희본은 이렇게 번역했다. “노래하소서, 여신이여!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의 분노를,/ 아카이오이족에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고통을 가져다주었으며/ 숱한 영웅들의 굳센 혼백들을 하데스에게 보내고/ 그들 자신은 개들과 온갖 새들의 먹이가 되게 한/ 그 잔혹한 분노를!” 같은 첫 문장을 이준석본은 이렇게 옮겼다. “노여움을 노래하소서, 여신이여,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의 노여움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고통을 아카이아인들에게 안겨주었고,/ 그 많은 영웅들의 강인한 목숨을 하데스로 떠나보냈으며,/ 그들 자신을 온갖 개떼와 새 떼의 먹이로 만든/ 그 저주받을 것을!” 이준석본은 ‘분노’ 대신 ‘노여움’이라는 단어를 택했고, 그 ‘노여움’을 문장의 첫머리에 놓았다. 아킬레우스의 분노 혹은 노여움이 <일리아스>의 이야기를 끌고 가는 핵심적인 동력임을 첫 문장의 첫 낱말로 드러낸 셈이다.

이준석본이 천병희본과 다른 결정적인 지점은 호메로스의 독특한 표현을 그 표현 그대로 살린 데서 발견된다. 이를테면 천병희본이 “너는 무슨 말을 그리 함부로 하느냐?”라고 옮긴 것을 이준석본은 원문의 표현을 살려 “네 이빨 울타리를 빠져나온 그 말은 대체 무엇이냐?”로 옮겼다. 또 천병희본이 “물 흐르듯 거침없이 말했다”로 옮긴 것을 이준석본은 “날개 돋친 말을 건네었다”로 옮겼다. 천병희본은 우리말의 표현을 살려 자연스럽게 옮긴 데 반해, 이준석본은 호메로스의 원문을 가능한 한 그대로 옮김으로써 호메로스의 표현 자체에 주목하게 했다. 또 이준석본이 한국어의 특징인 의성어·의태어를 사용하지 않은 점도 천병희본과 다른 점이다. 한국어와 달리 호메로스의 그리스어에서는 의성어나 의태어를 찾기 어렵다. 예를 들어, 이준석본은 전사가 목숨을 잃고 쓰러질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을, 한국어식으로 “쿵 하고 쓰러졌다”로 옮기지 않고 “둔중한 소리를 일으키며 쓰러졌다”로 원문을 살려 옮겼다.

전체적으로 대비해볼 때, 천병희 번역본이 <일리아스>를 처음 읽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삼아 잘 읽히는 번역을 지향했다면, 이준석본은 <일리아스>를 좀더 깊숙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정밀한 번역을 지향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준석본이 정밀성에 강조점을 두었다고 해도 가독성이 떨어지지는 않는다. 이준석본의 한국어 문장은 정갈하고 읽는 데 막힘이 없다. 전문성과 가독성을 함께 성취했다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천병희본의 큰 업적에 또 하나의 업적을 쌓은 셈이다.

고명섭 선임기자 michae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