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고향 어름으로 돌아갈 나이, 쉰

등록 2006-04-27 21:37수정 2006-04-28 14:57

김영남 세번째 시집 <푸른 밤의 여로>
김영남 세번째 시집 <푸른 밤의 여로>
김영남(49)씨의 세 번째 시집 <푸른 밤의 여로>가 문학과지성사에서 나왔다.

소설가 한승원씨와 이청준씨를 낳은 문향(文鄕) 전남 장흥 출신인 김씨는 앞선 두 시집 <정동진역>과 <모슬포 사랑>에서 국토의 동단과 남단으로 먼 걸음을 놓았었다. ‘강진에서 마량까지’라는 부제를 거느린 새 시집의 표제작은 “내 고향도 바로 여기 부근이야”로 마무리되거니와, 정동진에서 모슬포를 거쳐 고향 어름으로 회향하는 시인의 여로가 흥미롭다. 시인의 연치가 세는 나이로 어언 쉰, 이제 고향을 찾을 나이가 됐다는 뜻일까.

“이런 날/저 하늘가에 저녁 기러기 뜨면/고향에선 지금쯤/시래깃국을 가마솥에다 끓였겠다.”(<입동 무렵> 부분)

“그 끝에서 부력을 떼고 다시 출발선을 뒤돌아보면/할머니, 어머니, 풍선장수, 해남 아저씨, 바지게, 복슬 강아지/고향 운동회 한구석이 박수를 치며 일어선다.”(<코스모스가 피어 있는 길> 부분)

고향으로 향하는 시선에 그리움이 깃드는 것은 당연한 노릇. 시인은 책 뒷표지에 쓴 산문에서 “고향은 우리들이 버스에 오르는 순간 이미 죽어 무덤에 묻힌 것”이라 사뭇 매몰차게 단언하지만, 무덤 속이라고 그리움이 찾아가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리움의 최대치는 바로 어머니. 어머니를 떠올리면 제 아무리 반백의 중년 사내라도 다시 어린아이로 돌아간다.

“우리 엄마 분홍 치마폭 속으로//누구 날 좀 다시 업어다 줘요.//엎디어 잠을, 저렇게 고운 잠을…”(<무당벌레의 점과 함께> 전문)

<검정 고무줄에는>이라는 시에서 그 어머니는 “늘었다 줄었다 한다”는 신축성과 포용력에서 내복의 검정 고무줄에 비유되는데, <몽대항 폐선>에서 시인은 그런 어머니의 이미지를 물려 받고자 하는 의지를 밝힌다.

“난 예 풍경을 눈에 꼭 담고 상상한다./폐선이란/낡아 저무는 모습이 아니라/저물어선 안 될 걸/환기시키는 어떤 힘이라는 것을./(…)/나도 언젠가는 저처럼/누굴 그립게 끌어당겼다 놓았다 하는/몽대항 폐선이 되리란 꿈을 꾼다.”(<몽대항 폐선> 부분)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시인 자신 “너희 위해 징검다리 될 테니 날 짚고 건너뛰어라”(<징검다리의 노래> 부분)고 자식들에게 말하는 아비가 되어 있지 않겠는가.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