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경 검사
‘…대통령을 꿈꿔라’ 책에서 여성명망가들 비판한 정미경 검사
‘여성들이여 많아져라, 많아져라, 많아져라’라고 주문을 외우는 사람이 있다. 동시에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최초’의 여성들, ‘최초’의 여성 법무부 장관, 총리, 헌법재판소장 후보에게 자질과 실력이 아닌 코드와 성별을 내세웠다며 쓴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 현직 여성 검사 정미경(42·사법연수원 28기)씨 이야기다. 여성가족부 장관 법률자문관으로 일하고 있는 정 검사가 <여자 대통령이 아닌 대통령을 꿈꿔라>라는 책을 20일 출간했다. 그는 여성 검사 후배들이 많아지는 지금 ‘미래의 여성상’ ‘여성리더십’에 대한 질문을 던져주고 싶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는 성별로 역할을 구별짓는 시기가 끝나고, 앞으로는 역할에 대한 ‘포지셔닝’과 자질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한다.
정 검사는 책에서 강금실 전 법무장관, 한명숙 전 총리,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등이 능력있는 여성 리더십이 아닌 코드 인사의 한계를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최초’는 그에 따르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그는 “일선 검사들에게 강금실 전 장관은 현실감각이 없었던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와네트처럼 보였다”고 했다. 강 전 장관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 만났는데 막상 눈 앞의 강 전 장관은 ‘대표선수’의 모습이었다기 보다는 한 개인에 불과해 실망했다는 것이다. 강 전 장관이 군산지청을 방문했을 때 검사들과 진지한 토론은 하지 않고 “‘검사 아무개’라고 짧게 소개하는 신고 관행이 딱딱하니 ‘아무개 검사에요’로 바꾸라”고 말하던 모습 등을 두고 한 말이다.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해서는 “얼굴마담으로 발탁됐다는 말들이 ‘최초 여성’들이 감수해야 할 사회적 편견이었다면 이 또한 실력으로 극복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초의 여성 헌법재판소장 후보였던 전효숙씨에 대해서도 “능력보다는 코드, 여성이라는 이미지에 기대 남성들에게 간택 받으려 했던 ‘최초 여성’들의 전략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 보여줬다”고 썼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사진 랜덤하우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