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헌익(49) 런던정경대(LSE) 교수.
케임브리지대학 트리니티 칼리지 첫 한국인 교수 권헌익씨
6·25 연구 등으로 인류학계 인정
영국 최고 칼리지서 교수로 임용
“좋은 책으로 학계에 보답할 것” 영국 최고의 칼리지로 알려진 케임브리지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 한국인 인류학자인 권헌익(49·사진) 런던정경대(LSE) 교수가 임용됐다. 케임브리지의 31개 칼리지 중에서도 단연 최고로 꼽히는 트리니티 칼리지에 한국인 교수가 임용된 것은 그가 처음이다. 권 교수는 10월 새 학기부터 트리니티 칼리지의 선임 연구 정교수로 일한다. 선임 연구 정교수는 정교수에 준하는 대우를 받으면서 연구나 강의를 자유롭게 선택해서 할 수 있는, 정교수 가운데서도 특별한 자리다. 영국에서 선임 연구 정교수는 보통 정년퇴임을 몇 년 앞둔 정교수들에게 주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권 교수는 17일 “모교에 돌아오게 돼 기쁘다”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요청한 대로 앞으로 좋은 책을 써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때 일어난 마을, 가족 등 공동체에 대한 학살행위를 연구한 저서 <학살 이후>, <베트남의 전쟁 유령들>로 인류학계의 권위있는 ‘기어츠상’(2007년)과 아시아학계의 ‘조지 카힌상’(2009년)을 받아 학계에 널리 알려졌다. 그는 6·25가 내전과 국제전의 두 가지 양상뿐 아니라, 민간인에 대한 전쟁이라는 성격도 띠고 있다고 봤다. 따라서 이제는 조국해방전쟁이냐, 침략전쟁이냐 하는 이념 구도에 집착하지 말고 남쪽과 북쪽의 민간인들, 참전했던 미국인과 중국인들에게 이 전쟁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냉전의 시작을 알린 열전이었던 이 전쟁이 한반도뿐 아니라 20세기 후반 세계 역사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도 그의 관심사다. 그는 “한국전쟁을 겪은 미국이 자본주의 진영을 강화할 목적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흑백분리차별) 정책까지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우석훈 2.1연구소장은 지난해 11월18일 <한겨레> 칼럼에서 “장하준 다음의 질문은 권헌익의 질문이 됐으면 좋겠다”고 썼다. 이 이야기에 대해 그는 “우 선생을 알지만 그런 좋은 이야기를 해준 줄 몰랐다”면서도 “공동체의 삶이 회복될 수 있는지 여부가 내 공부의 주제이자 질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또 다른 냉전>을 써낸 데 이어, 연말엔 <북한-냉전의 극장 국가>를 펴낼 예정이다. 서울대 철학과를 다니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권 교수는 케임브리지대학 인류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영국 맨체스터대, 에든버러대 교수를 거쳐 2009년부터 런던정경대에서 교수로 일해왔다. 트리니티 칼리지는 1546년 영국의 양대 명문 칼리지인 옥스퍼드대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와 함께 헨리 8세에 의해 설립됐다. 노벨상 수상자 32명을 비롯해. 아이작 뉴턴, 프랜시스 베이컨, 바이런,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자와할랄 네루 등을 배출했다.
케임브리지(영국)/글·사진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영국 최고 칼리지서 교수로 임용
“좋은 책으로 학계에 보답할 것” 영국 최고의 칼리지로 알려진 케임브리지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 한국인 인류학자인 권헌익(49·사진) 런던정경대(LSE) 교수가 임용됐다. 케임브리지의 31개 칼리지 중에서도 단연 최고로 꼽히는 트리니티 칼리지에 한국인 교수가 임용된 것은 그가 처음이다. 권 교수는 10월 새 학기부터 트리니티 칼리지의 선임 연구 정교수로 일한다. 선임 연구 정교수는 정교수에 준하는 대우를 받으면서 연구나 강의를 자유롭게 선택해서 할 수 있는, 정교수 가운데서도 특별한 자리다. 영국에서 선임 연구 정교수는 보통 정년퇴임을 몇 년 앞둔 정교수들에게 주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권 교수는 17일 “모교에 돌아오게 돼 기쁘다”며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요청한 대로 앞으로 좋은 책을 써서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때 일어난 마을, 가족 등 공동체에 대한 학살행위를 연구한 저서 <학살 이후>, <베트남의 전쟁 유령들>로 인류학계의 권위있는 ‘기어츠상’(2007년)과 아시아학계의 ‘조지 카힌상’(2009년)을 받아 학계에 널리 알려졌다. 그는 6·25가 내전과 국제전의 두 가지 양상뿐 아니라, 민간인에 대한 전쟁이라는 성격도 띠고 있다고 봤다. 따라서 이제는 조국해방전쟁이냐, 침략전쟁이냐 하는 이념 구도에 집착하지 말고 남쪽과 북쪽의 민간인들, 참전했던 미국인과 중국인들에게 이 전쟁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냉전의 시작을 알린 열전이었던 이 전쟁이 한반도뿐 아니라 20세기 후반 세계 역사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도 그의 관심사다. 그는 “한국전쟁을 겪은 미국이 자본주의 진영을 강화할 목적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흑백분리차별) 정책까지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우석훈 2.1연구소장은 지난해 11월18일 <한겨레> 칼럼에서 “장하준 다음의 질문은 권헌익의 질문이 됐으면 좋겠다”고 썼다. 이 이야기에 대해 그는 “우 선생을 알지만 그런 좋은 이야기를 해준 줄 몰랐다”면서도 “공동체의 삶이 회복될 수 있는지 여부가 내 공부의 주제이자 질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또 다른 냉전>을 써낸 데 이어, 연말엔 <북한-냉전의 극장 국가>를 펴낼 예정이다. 서울대 철학과를 다니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 권 교수는 케임브리지대학 인류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영국 맨체스터대, 에든버러대 교수를 거쳐 2009년부터 런던정경대에서 교수로 일해왔다. 트리니티 칼리지는 1546년 영국의 양대 명문 칼리지인 옥스퍼드대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와 함께 헨리 8세에 의해 설립됐다. 노벨상 수상자 32명을 비롯해. 아이작 뉴턴, 프랜시스 베이컨, 바이런,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자와할랄 네루 등을 배출했다.
케임브리지(영국)/글·사진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