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 새 소설 ‘흑산’
새 장편소설 ‘흑산’ 발표한 소설가 김훈
“많은 순교자들, 그보다 더 많은 배교자들 이야기”
“많은 순교자들, 그보다 더 많은 배교자들 이야기”
“이 소설은 신유박해에서 병인양요 사이 천주교 박해와 관련된 지식인과 백성들의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그려지는 천주교는 내세나 초월, 영혼의 구원, 천당의 지복 같은 것과는 무관한, 오직 속세와 관련된 부분만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저는 신앙인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관찰자의 시각을 견지하고자 애썼습니다.”
소설가 김훈(63)씨가 새 장편소설 <흑산>(학고재)을 내고 20일 낮 기자들과 만났다. <흑산>은 천주교에 연루되어 체포된 정약전이 흑산도로 유배를 떠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소설은 죽을 때까지 흑산도를 벗어나지 못하고 그곳에서 어류 생태 연구서 <자산어보>를 저술한 정약전, 그리고 그의 조카사위이자 백서 사건의 주모자로 능지처참의 극형을 당한 황사영을 두 축으로 삼고, 정약전의 형제들인 약현·약종·약용 등 지식인들, 그리고 대왕대비에서부터 어부와 면천 노비까지 다양한 인물들을 배치함으로써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이르는 조선의 사회상을 그려 보인다.
“이 소설에는 많은 순교자들, 그리고 그보다 더 많은 배교자들이 나옵니다. 저는 자유나 사랑이나 인간의 영원성, 불멸성이라는 목표를 향해서, 그것을 증거하기 위해서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고, 그런 것들을 다 버리고서 다시 현세의 자리로 돌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도 썼습니다. 약전은 돌아온 사람이지요. 그는 이 소설의 형식적인 주인공인데, 귀양 간 섬에서 물고기를 들여다보다가 죽었습니다. 한 권의 책도 없고, 문자도 없고, 언어를 교환할 자도 없는 섬에서 오로지 물고기를 들여다보다가 죽은 한 유자(儒者)의 삶을 보면서 저는 답답함과 기막힌 슬픔을 느꼈습니다.”
소설에는 ‘적극적, 능동적 배교자’ 정약용에 관한 서술도 나온다.
“배교자의 최정상에는 정다산(약용)이 있습니다. 그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배교자였죠. 배교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동료 교인들을 밀고했고, 아마도 그 대가로 목숨을 부지해서 엄청난 학문적 저작을 남겨 자손 만대의 추앙을 받았습니다. 그렇지만 정약용의 배교가 그의 인격을 훼손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택일 뿐이죠. 배교가 그가 이룬 학문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는 “기독교가 죽음과 기적을 현실의 악을 극복하는 계기로 삼는 것에 동의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비기독교도”라고 말했다. 세례 교인으로 고교 시절까지 성당의 복자였지만 지금은 냉담자가 되었다는 작가는 “자연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명하려는 노력이 빈약하거나 거의 없다는 점에서도 기독교에 동의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나는 어떤 주의자도 아니고, 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는 야만성을 혐오하는 사람”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한편 <흑산>의 속표지에는 작가 자신이 그린 기묘한 그림이 들어 있어 눈길을 끈다. 원양을 건너가는 새와 배와 물고기, 그리고 대륙을 오가는 말을 한 마리의 생명체 안으로 모았다는 이 괴 생명체에 작가는 ‘가고가리’라는 이름을 붙였다.
“소설을 탈고한 뒤 머릿속에 남은 영상을 그림으로 그려 보았어요.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젊었을 때 읽었던 다윈의 <종의 기원>을 다시 꺼내 읽었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종의 기원> 속 ‘종의 기원을 찾아서’ 100여 쪽을 읽다 나왔어요. 저는 제 소설 속 배교자나 순교자 모두 진화의 앞날을 향해서 수억만 년을 가고 또 가는 존재로 읽히기를 바랍니다. 이 새는 그러니까 ‘다윈의 새’라고 할 수 있겠죠.”
그는 “다윈의 이론은 자연계에서 벌어진 생명현상을 다룬 무목적적·기계론적 진화론이지만, 인간 세상에서는 그 진화의 끝에 자유나 사랑 같은 이상적 가치와 만나는 지점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고민했다”면서 “그렇지만 진화론과 인간적 이상을 결합시키는 글은 나뿐만 아니라 그 누구도 쓰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설을 읽는 독자들이, 여러 갈등의 요소들이 모여서 ‘가고가리’처럼 수억만 년의 시공을 날아가는 새를 떠올렸으면 합니다. 그 새가 가야 하는, 수억만 년 시공 너머의 섬이 바로 흑산인 것이죠. <흑산>의 이야기가 우리 당대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는 말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작가의 이전 소설들과는 달리 이 소설에는 단일한 주인공이 나오지 않는다. 이야기는 사방으로 퍼져 있다. “처음에는 약전을 주인공으로 삼으려 했지만, 소설을 쓰다 보니 주인공 없는 소설을 쓸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름 없이 죽은 한 사람의 교인이나 정약전이나 대등한 존재 아니겠습니까. 인간 세상에서 그 어느 한 사람만이 주인공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앞으로도 주인공 없는 소설을 쓸 겁니다.”
주인공이 없는 것과 함께 이 소설에는 ‘사랑’이라는 단어도 등장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제 소설에서는 ‘사랑’이라는 두 글자를 쓴 적이 없습니다. 작가로서 저는 그 말을 자주 쓰는 이들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저로서는 그 말이 도무지 장악이 되질 않거든요. 내 생에 그 말을 쓸 수 있는 행복한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글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 사진 박종식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