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아하, 술이 이렇게 만들어지는구나

등록 2012-11-30 19:59

<우리 집 막걸리>
양재홍 글, 김은정 그림/보림·1만800원
<우리 집 막걸리> 양재홍 글, 김은정 그림/보림·1만800원
<우리 집 막걸리>
양재홍 글, 김은정 그림/보림·1만800원
<우리 집 막걸리>는 이야기로 읽는 박물관이다. 쳇다리, 용수, 소줏고리 등 요즘에는 박물관에서나 볼 법한 술 빚는 도구들이 이야기 속에 그림으로 녹아 있다. 더위가 시작하는 초여름 밀밭을 배경으로 시작해 누룩을 만들고 술로 걸러내는 과정을 한 집안의 즐겁고 정성스러운 행사로 그려낸다.

“밀이 익으면 술을 빚는댔지.” 시골에 사는 보영이는 학교에서 돌아와 엄마와 할머니가 맷돌을 돌려 밀을 갈고 곰팡이를 띄워 누룩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옆에서 지켜본다. 술 만들기는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몫이었지만 남자 가족이라고 받아서 마시기만 하는 건 아니다. 아빠는 말린 누룩을 절구에 넣고 쿵쿵 빻고 할아버지는 술 담글 항아리에 볏짚 태운 메케한 연기를 쐬게 해 소독을 한다. 어른들을 쫓아다니며 묻는 아이의 질문에 대답하는 식으로 술 빚는 과정이 꼼꼼하게 묘사된다. “할머니 밥이 고들고들해요.” “날마다 먹던 밥과 좀 다르지? 술 빚을 때 쓰는 지에밥이란다.”

술 만드는 과정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 음식문화로서 술에 대한 설명도 친절하다. “술이 음식이라구요?” “그렇제. 제사를 지내거나 손님을 맞이할 때, 집안 어른을 모실 때도 술이 없으면 안 되지.” 정성스레 청주와 소주를 내린 뒤 체에 걸러낸 막걸리는 남녀 할 것 없이 일을 하다 한 사발 시원하게 들으켜는 노동음료다. 벼베기 하는 날 마을 아주머니들은 보영이네 집에 모여 새참을 만들며 새 술 맛을 보고 벼를 베던 할아버지와 아저씨들은 허리를 펴면서 술잔을 나눈다. 책 읽어주는 엄마들에게는 어렴풋한 기억으로 남아 있을 맷돌이나 절구, 요강 등 오랜 살림살이들을 그림 곳곳에서 발견하는 재미도 있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꼼수의 제왕’ 한상대, 하루도 못넘기고 ‘사퇴’
“당신이 산 티켓이 야생코끼리를 노린다”
‘은퇴’ 박찬호 “나는 운이 좋은 녀석이었다”
1분에 10㎝, 황제펭귄의 겨울나기
주남저수지 어린이 살해 용의자는 엄마
문재인쪽 “왜 노무현 정부만 곱빼기로 심판받아야 하나”
[화보] ′위기의 검찰′…한상대 검찰총장 사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