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대중의 불안을 먹고 자라는 ‘심리학 산업’

등록 2014-02-09 21:34

2월 10일 교양 잠깐독서

심리학에 속지 마라
스티브 아얀 지음, 손희주 옮김
부키·1만4800원

대개 사람들은 지능지수(IQ)가 100이 넘기를 바란다. 하지만 지능지수 검사는 평균이 100이 되도록 설계된다. 애초에 인구의 절반 정도만 제 지능지수에 ‘안도’할 수 있게끔 돼 있는 것이다. 그러자 지능지수에 불안을 느끼는 이들을 위무하는 감성지수(EQ)가 등장했다. 독일의 심리학 전문지 편집장인 지은이는 이를 심리전문가들의 ‘장삿속’이라 비판한다. “심리학자들이 지능 검사 후 빈손으로 돌아가는 사람이 없도록 새로운 재능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2011년 ‘잘생긴 사람이 성공 가능성이 높다’ 등의 논문을 발표해 인기를 얻은 네덜란드 심리학자 디데릭 스타펄 교수의 논문 중 상당수가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지은이는 심리학에서는 방법이 결과를 결정하므로 대중은 심리학 결과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선 안 되며, 심리학자들이 할 일은 각 개인의 삶에 바르게 접근할 수 있는 표준화된 연구 방식을 고안해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지은이는 한 심리학 강연회장에서 마음 치유를 갈구하는 청중들이 심리학을 만병통치약으로 믿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심리학계의 ‘내부고발자’가 되어 이 책을 쓴 그는 “심리학자가 심리적 장애를 줄여줄 수는 있겠지만 성공적인 삶으로 이끌지는 못한다. 그 길은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권고한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