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슬픔과 고통에서 구원을 길어올리는 바리의 노래

등록 2014-04-27 19:30수정 2014-04-28 14:32

열세번째 시집 <바리연가집>을 낸 강은교 시인. “시의 궁극은 노래라고 생각한다”며 “생명, 시간, 계절 등 세상 모든 것이 리듬 아닌가”라고 말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열세번째 시집 <바리연가집>을 낸 강은교 시인. “시의 궁극은 노래라고 생각한다”며 “생명, 시간, 계절 등 세상 모든 것이 리듬 아닌가”라고 말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자신을 버린 부모를 살리는
설화 속 인물을 통해 삶 반추
경련은 병증이자 시의 원동력
<바리연가집>
<바리연가집>
바리연가집
강은교 지음
실천문학사·8000원

강은교 시인은 그동안 설화 속 인물 바리로 하여금 자신의 아픔을 함께 짊어지고 세상의 고통에도 참예하도록 해 왔다. 부모에게 버림받았음에도 저승까지 건너가 죽은 아비를 살리는 신약을 구해 온 바리 이야기에서 그가 여성과 시인이라는 두 존재의 숙명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가끔 그런 곳을 생각한다/ 바리가 아비어미의 입술에 등꽃빛 숨살이 가지를 얹고, 바리가 아비어미의 입술에 등꽃빛 살살이 가지를 얹고, 바리가 아비어미의 가슴에 방울방울 약수를 춤추게 하는 등꽃빛 상여 위, 둥근 지붕이 거기 있는”(<둥근 지붕> 부분)

아예 <바리연가집>이라는 제목을 앞세운 강은교의 열세번째 시집 역시 바리의 발길과 마음의 움직임을 통해 시인의 현재적 관심과 지향을 드러낸다. “너에게 밥을 먹이고 싶네/ 내 뜨끈뜨끈한 혈관으로 덥힌 밥 한 그릇”(<너에게> 전문)이나 “물소리에 기대앉아 바라보네/ 하염없이 하염없이 바라보네/ 나막신 한 켤레 들고/ 바라보네 바라보네// 이 밤/ 살아 있는 모든 것들 거룩해질 때까지”(<백무동 물소리>)와 같은 시가 구원자이자 나그네로서 바리를 노래한다면, 혜화동에서 배다리 헌책방을 거쳐 부산역과 서면으로 이어지는 공간을 담은 시편들은 설화 속 바리를 시인의 삶 속에 포개 놓으려는 시도라 하겠다.

“서류의 빈칸을 채워나가다가/ 변호사는 그 남자의 직업란에 이르러/ 무직이라고 썼다/ 그 여자는 항의하였다, 그는 무직이 아니라고, 시인이며 꽤 유명한 민주 운동 단체의 의장이었다고/ (…) / 그들은 요약되었다, 한 장의 이혼장으로/ 사유는 그 남자의 무직, 아니 무능”(<시(詩), 그리고 황금빛 키스> 부분)

“어느 날 나는 그걸 발견하였지/ 당신이 버리고 간 시는 총 다섯 편이더군/ 그때 눈이 왔었는지, 만년필로 쓴 시가 눈물방울에 얼룩져 있었어/ 70년대, 유신 독재 시절에 쓰인 거였어/ (…) / 그렇게 그리워하던 꿈이/ 은백색으로 빛나며 목에 감기어/ 이젠 금빛으로 누래진 어떤 문학잡지 골짝 깊이 누워 있었어, ‘진보연합’이라고 쓴, 귀퉁이가 닳을 대로 닳은 봉투에 소중히 담겨서”(<봉투> 부분)

이혼한 남편인 고 임정남을 노래한 시편들은 이 시집의 또 다른 한 축을 이룬다. 시인의 대학 동기이자 ‘70년대’라는 동인을 함께 했던 임정남은 1970, 80년대 엄혹한 시절 민주화운동에 투신하느라 시에 전념하지 못했고 결국 병을 얻어 일찍 세상을 떴다. 인용한 시들은 ‘무직’ 및 ‘무능’이라는 법률적·경제적 규정과 문학 및 진보라는 꿈 사이에 찢긴 고인에 대한 안쓰러운 그리움을 구체적 맥락 속에 인상적으로 드러낸다. “그이는, 진보를 외치던 그이는/ 진보를 중얼거리다가 ‘진보연합’ 봉투, 꽃다발처럼 가슴에 안고 죽었지// (…) // 혁명도 진보도 물 건너갔어/ 이승이라는 방에서 저승이라는 방으로 물 건너갔어”(<중병>)라거나 “네가 버린 담뱃갑/ 네가 버린 구겨진 편지지/ 네가 버린 일회용 종이컵/ 네가 버린 껌종이, 이리 쿵덕 저리 쿵덕// (…) // 너로 하여 빛났던 저 잡풀/ 너로 하여 빛났던 저 모래바람 입은 안개/ 너로 하여 빛났던 저 땀의 혀, 이리 쿵덕 저리 쿵덕”(<불멸­J에게>) 역시 마찬가지다.

‘강은교 씨를 미리 추모함’이라는 부제를 지닌 <나의 거리> 그리고 <아아아, 오늘도 나에게 시를 쓰게 하는 것들>에는 “아직도 이유와 때를 모르는 나의 경련”과 “경련을 잠재워주는 내 평생의 연인들”인 알약들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경련이 단지 그를 괴롭히는 병증일 뿐만 아니라 그로 하여금 시를 쓰게 하는 동력이기도 하다는 사실이다. “경련의 나의 스승, 나의 시, 나의 마지막 첫사랑”(<나의 거리>)이라는 구절에는 저주받은 운명을 구원의 역사(役事)로 바꾼 바리의 모험이 포개져 있지 않겠는가.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