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햄릿의 75% 운문인 거 아셨어요?

등록 2014-04-29 19:41수정 2014-04-29 21:03

셰익스피어 전집 운문 번역에 도전하는 최종철 교수. “영문학사상 영어를 가장 아름답게 구사한 작가가 셰익스피어인데 그의 운문 형식을 무시한 번역으로는 잃는 게 너무도 많다”고 말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셰익스피어 전집 운문 번역에 도전하는 최종철 교수. “영문학사상 영어를 가장 아름답게 구사한 작가가 셰익스피어인데 그의 운문 형식을 무시한 번역으로는 잃는 게 너무도 많다”고 말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셰익스피어 운문 번역’ 최종철 교수
셰익스피어 전집
셰익스피어 전집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햄릿>) ‘인생은 걸어다니는 그림자, 가엾은 배우일 뿐.’(<맥베스>)

이런 셰익스피어 희곡의 대사 한두줄쯤 들어 보지 않은 이는 거의 없을 것이다. 450년 전 영국에서 태어난 이 대문호의 작품은 그만큼 우리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그런데 셰익스피어의 희곡 대부분이 산문이 아닌 운문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이른바 4대 비극만 보아도 <햄릿>과 <리어 왕>의 75퍼센트, <오셀로>의 80퍼센트, <맥베스>는 무려 95퍼센트가 운문 형식이다. 최종철 연세대 영문과 교수가 셰익스피어 희곡의 운문 번역에 나서기로 한 까닭이다.

“1989년 모교에 부임하면서 영문학자로서 어떤 일을 할 것인지 고민을 했습니다. 영미 학자들과 논문으로 겨루는 건 내 본분이 아니라는 판단이 들더군요. 한국의 영문학자로서 우리 문화에 기여할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전공인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 쪽으로 방향을 정해 놓고 상황을 보니 한가지 심각한 문제가 눈에 들어왔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이 주로 운문으로 되어 있는데도 모든 번역이 뻑뻑한 산문 형식이었던 것. ‘해 볼 만한 일이다’라는 판단이 들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 대사 대부분은 이른바 ‘약강 오보격 무운시’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 다음에 바로 강세를 받는 음절이 오는 것을 ‘약강’이라 하고, 이런 약강 음절이 시 한 줄에 연속적으로 다섯번 나타날 때 ‘오보격’이라는 말을 쓰며, 연이은 두 시행의 끝에서 같은 음을 되풀이하지 않는 것을 ‘무운’이라고 합니다. 영어의 자연스러운 리듬에 가장 가까운 이 형식을 사용한 대표적인 작가가 바로 셰익스피어예요.”

운문 형식을 산문으로 바꿔 놓을 경우 △시가 지니는 함축성과 상징성 및 긴장감이 크게 떨어지며 △수많은 비유로 파생되는 상상력의 자극이 둔화되고 △시의 음악성이 거의 사라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원문이 운문이라면 번역문 역시 운문이 되어야 했다.

셰익스피어 희곡 대부분 운문
국내엔 모두 산문으로 번역돼
상징성·긴장감·상상력 떨어져 

1편에 1년반…전집 2019년 마무리
“영어운문에 우리 운율 3·4조 적용
리듬 살리니 쾌감·긴장감 느껴져”

“영어의 운문 형식을 우리말로 어떻게 옮겨 올 것이냐가 관건이었어요. 우리 시의 기본 운율인 삼사조에 적용해 보았습니다. 우리말 대사 한 줄의 자수를 최소 열두자에서 열여덟자로 제한하고 그 안에서 적절한 자수율을 찾아보았죠. 그러자 답이 나왔어요.”

그런 방식으로 1993년 첫 운문 번역 <맥베스>를 선보인 이래 4대 비극 나머지 작품과 <로미오와 줄리엣> <한여름 밤의 꿈> <베니스의 상인>을 같은 방식으로 번역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으로 출간한 그가 이참에 아예 셰익스피어 전집 번역 계획을 세우고 그 첫 두권(사진)을 먼저 내놓았다. <한여름 밤의 꿈> <베니스의 상인> <좋으실 대로> <십이야> <잣대엔 잣대로>가 포함된 ‘희극 1’편과 <헨리 4세> 1·2부와 <겨울 이야기> <태풍>이 포함된 ‘사극·로맨스 1’편이 그것이다.

“가령 <한여름 밤의 꿈>은 테세우스의 이런 대사로 시작됩니다. ‘자, 아름다운 히폴리타, 이제 우리 혼인날이/ 빨리 다가오는구려. 행복한 나흘 뒤면/ 새 달이 뜬다오. 근데 저 낡은 달은/ 얼마나 느리게 기우는지! 계모나 과부가/ 젊은이의 재산을 오랫동안 축내듯이/ 내 욕망을 질질 끌어 풀 죽게 만든다오.’ 여기서 문장이 행을 건너 이어지는 형식은 결혼을 앞둔 테세우스의 흥분 상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합니다. 또 짧은 몇 문장 뒤에 이어지는 긴 문장은 그가 느끼는 시간의 지루한 흐름을 형식 차원에서 보여주죠.”

뜻을 정확히 옮기면서 리듬감도 살리자니 여느 번역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압축 효과를 위해 순우리말과 한자어를 섞어 쓰는 방식을 택했다. 다른 번역이나 저술과는 담을 쌓고 오로지 셰익스피어 번역에만 매달리고 있음에도 희곡 한편을 제대로 옮기는 데 평균 1년반이 걸리는 지난한 작업. 그런 힘든 과정을 거쳐 희곡 38편과 소네트 154편, 장시 2편과 짧은 시들을 망라하는 셰익스피어 전집 번역은 2019년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귀찮고 까다로운 운문 번역을 굳이 왜 하느냐고요? 제 번역을 한번 소리 내서 읽어 보세요. 그러면 일정한 리듬이 주는 쾌감과 긴장감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