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제39회 이상문학상에 소설가 김숨

등록 2015-01-07 19:21수정 2015-01-07 21:12

소설가 김숨. 사진 최재봉 기자
소설가 김숨. 사진 최재봉 기자
중편소설 ‘뿌리 이야기’ 선정
“뿌리 뽑힌 현대인의 고통 승화”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이상문학상에 김숨(사진)의 중편소설 <뿌리 이야기>가 선정되었다. 최일남·김윤식·이태동·윤후명·김성곤 등 심사위원들은 <뿌리 이야기>가 “인간을 나무에 비유해, 산업화와 개발로 인한 현대 사회의 황폐함과 현대인의 뿌리 뽑힘 그리고 다른 곳으로의 이주가 초래하는 고통을 문학적으로 승화하는 데 성공한 수작”이라고 선정 사유를 밝혔다.

심사위원들은 “작가는 다른 곳으로 이식되는 나무의 불안과 고통을 자신의 삶의 터전을 떠난 뿌리 들린 사람들-예컨대 철거민과 입양아 그리고 종군위안부-의 삶과 긴밀하게 병치하고 있다”며 “(그러나 동시에)작가는 옆으로 뻗어 나가는 천근성 뿌리와 깊이 내려박는 심근성 뿌리의 조화와 공존을 통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수상자 김숨은 7일 낮 서울 시내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나무는 태어난 자리에서 성장하고 결국 숨을 거두는 존재인데 그런 나무가 뿌리 내린 흙을 떠나 낯선 흙 속에 옮겨 심어질 때 얼마나 공포스러울까 하는 생각에서 소설이 출발했다”며 “나 자신은 나의 공간, 나의 집을 좋아하고 그곳에 머물 때 안정감을 느끼며 여행도 별로 즐기지 않는 편이라서 이 소설은 나의 어떠함이 가장 많이 투영된 작품”이라고 말했다.

“최근 제발트의 <이민자들>과 줌파 라히리의 <저지대>처럼 이민 2세들의 불안을 다룬 소설을 흥미있게 읽었어요. 제 작품 <뿌리 이야기>에서 종군위안부와 입양아, 철거민처럼 뿌리뽑힌 존재를 주요 인물로 등장시킨 것이 그 영향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김숨은 1997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와 이듬해 <문학동네>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소설집 <투견> <침대> <간과 쓸개> <국수>와 장편 <백치들> <철> <나의 아름다운 죄인들> <물> <노란 개를 버리러>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등을 냈으며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허균문학작가상을 수상했다. 제39회 이상문학상 우수작으로는 손홍규·윤성희·이장욱·이평재·전성태·조경란·한유주의 작품이 선정되었으며, 수상작과 우수작 등을 수록한 수상 작품집은 이달 20일께 나온다. 이상문학상 상금은 3500만원이며 시상식은 11월에 열린다.

최재봉 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