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출입처로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자들이 활동하고 있는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실. 정치기사의 산실인 국회 기자회견장에서는 하루 평균 10건 이상의 회견이 열린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의원수 5배 넘는 1600명 출입기자
본관 한켠 기자실서 바글바글
하루 10여번 뉴스 쏟아내는 ‘장’이 선다
국회 쪽이 아래층으로 옮기려 공고
“왜 지하로 처박나” 기자들 반발
지상구조 ‘지하층’을 ‘1층’으로 바꾸나
건물을 그대론데 6층이 7층 둔갑
본관 한켠 기자실서 바글바글
하루 10여번 뉴스 쏟아내는 ‘장’이 선다
국회 쪽이 아래층으로 옮기려 공고
“왜 지하로 처박나” 기자들 반발
지상구조 ‘지하층’을 ‘1층’으로 바꾸나
건물을 그대론데 6층이 7층 둔갑
현장속 현장 대한민국 국회의원은 299명이다. 국회를 출입하는 기자들은 다섯배가 넘는 1600명이다. 단일 출입처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서울 여의도 국회에 가면 파란색 출입증을 가슴에 달고 다니는 사람들이 쉽게 눈에 띄는데, 이들이 바로 국회 출입 기자들이다. 기자들은 국회 본관 2층 북동쪽에 주로 머문다. 국회 기자실이다. 본래 이 곳은 1층이었는데, 최근에 갑자기 2층이 됐다. 기자실을 옮긴 것이 아니라, 1층이 통째로 2층으로 바뀌었다는 얘기다.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나중에 설명하자. 정치부 정당팀 기자들이 쓰는 기사의 상당 부분이 바로 국회 기자실에서 나온다. ‘정치 기사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기자실은 크게 회견장과 부스로 나뉜다. 회견장은 국회가 열려 있을 때면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인다. 하루에 평균 10건 이상의 회견이나 브리핑이 열린다. 너무 많아서 통계도 잘 잡히지 않을 정도다. 회견장의 일상을 살펴보자. 지난 9월13일 오전 9시35분. 임채정 우원식 유기홍 이목희 등 열린우리당 서울시 지역구 의원 8명이 시세인 담배소비세를 구세로, 구세인 재산세를 시세로 맞바꾸는 세목교환을 설명하기 위해 단상에 섰다. 임채정 의원이 준비한 문안을 낭독한 뒤, 우원식 의원이 보충설명을 했다. 회견장 안에는 기자들 20여명이 앉아 있었고, 텔레비전 방송 카메라가 회견 장면을 영상으로 담고 있었다. 회견장 밖에서는 전여옥 한나라당 대변인이 순서를 기다리며 몇몇 기자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었다. 9시50분. 어디서 갑자기 나타났는지 열린우리당의 정장선 오영식 의원이 단상으로 올라왔다. 밖에서 기다리던 전여옥 대변인은 “저 분들이 먼저 온 것 같다”며 순순히 한나라당 사무실로 돌아갔다. 먼저 온 사람이 회견장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장선 의원은 재경 당정회의 결과를 간단히 설명하고 회견장을 나갔다. 원내 공보담당 부대표를 맡고 있는 오영식 의원이 혼자 마이크를 잡고 고위 정책회의 결과를 설명했다. 오 의원은 회견장의 단골이다. 브리핑을 마친 그는 미소를 지은채 “질문 있습니까? 없을실 겁니다”라고 말한 뒤 단상에서 내려왔다. 그는 평소 간결하고 솔직한 브리핑으로 기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9시55분. 전여옥 대변인이 들어섰다. 방송기자 출신인 전 대변인은 특유의 낭랑한 목소리로 주요당직자회의 내용을 브리핑했다. 전 대변인은 대개 같은 내용을 두번씩 읽어준다. 한번에 알아듣지 못하는 기자들을 위한 일종의 서비스다. 전 대변인이 나가자, 이번에는 민주노동당 원내수석부대표인 심상정 의원이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소탈하고 성실한 자세로 아침 8시에 열렸던 의원총회 내용을 자세히 소개했다. 심 의원도 회견장의 단골이다. 잠시도 쉴틈없는 회견장 마이크 다음날인 14일에도 회견장은 북적거렸다. 오전에만 △엑스파일 내용 공개 촉구 의원 모임 회견 △민병두 열린우리당 의원의 당 정치개혁특위 브리핑 △나경원 한나라당 공보부대표 국회 상황 브리핑 △노회찬 의원과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추진연대 단체 대표들의 회견 △대우조선 매각대책위원회 공동 기자회견 등 10건의 회견과 브리핑이 숨가쁘게 이어졌다. 오후에는 재경위 소속 여야 의원들이 증인 문제를 둘러싸고 교대로 단상에 올라 공방을 벌였다. 가만히 보고 있으면, 마이크가 고장나지 않는 것이 신기할 정도다. 회견장은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아니다. 국회의원이거나 국회의원의 소개를 받아야 한다. 용도도 의정활동 홍보, 각 정당의 브리핑 등으로 제한돼 있다. 회견장은 뉴스를 전달하는 마당이다. 동시에 정치공세의 장이기도 하다. 뉴스인지, 정치공세인지 분별하는 사람들은 기자들이다. 여야의 정치 공방이 벌어지면 당사자들의 얼굴에는 벌겋게 열이 오르지만, 기자들은 심드렁해진다. 기사가 안되기 때문이다. 기자들, 특히 정당팀 ‘말진’들은 회견장에 죽치고 앉아 있거나, 들락날락하면서 ‘받아 쳐야’한다. 피곤한 일이다.
아래는 소속회사별로 따로 설치돼 있는 기자실 부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