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시인들의 시인’ 이성복이 들려주는 시쓰기 방법론

등록 2015-09-10 20:57

강의록과 강연 등을 엮은 시론 세권을 한꺼번에 내고 9일 낮 기자들과 만난 이성복 시인. “책으로 낼 생각이 없다가 이삭줍기하듯 출간한 것들이지만, 때로는 이삭줍기한 것이 더 맛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강의록과 강연 등을 엮은 시론 세권을 한꺼번에 내고 9일 낮 기자들과 만난 이성복 시인. “책으로 낼 생각이 없다가 이삭줍기하듯 출간한 것들이지만, 때로는 이삭줍기한 것이 더 맛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강의록, 강연 등 엮은 책 세권
“시는 불가능과 실패의 기록”
현란한 비유와 직관 돋보여
•극지의 시•불화하는 말들•무한화서
이성복 지음/문학과지성사·각 권 1만1000~1만2000원

1980년대 이후 활동을 시작한 시인들 가운데 이성복(63)의 ‘세례’를 받지 않은 이가 얼마나 될까. 후배 시인들에게 ‘교과서’ 구실을 한, ‘시인들의 시인’ 이성복이 쓴 시론 세권이 한꺼번에 나왔다.

물론 체계적인 연구서는 아니다. 체계란 어쩌면 가장 이성복답지 않은 것일지도 모르니까. <극지의 시>는 지난해와 올해 행한 강의, 대담, 수상 소감 등을 엮은 것이고 <불화하는 말들>은 2006년과 2007년 사이 시 창작 수업 내용을 계명대 제자들이 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며 <무한화서>는 대학원 시 창작 수업 내용을 아포리즘 형태로 다듬은 것이다. 출처와 형식이 제각각이지만 이 책들에는 시인 이성복이 40년 가까이 시를 써 오면서 궁구한 시적 사유의 정수가 담겼다.

“궁극적으로 제 시가 닿은 지점이 ‘불가능’인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시라는 것이 본래 ‘불가능’이고, ‘불가능’을 표현하려고 애쓰다가 실패하는 것이 아닌가 해요.”

“실패하지 않는 시가 어디 있겠어요. 시 쓰기는 늪 속의 허우적거림처럼, 사막에서의 제자리걸음처럼 한 발자국도 전진하지 않는 것이고, 그런 점에서 ‘성장소설’ ‘교양소설’에서 보이는 원륭(圓隆)한 인생관의 터득과는 다른 것이지요.”

동료와 후배 시인들의 질시 어린 존경을 받는 이 ‘성공’한 시인이 실패와 불가능의 시학을 설파하는 것은 뜻밖이다. 그렇다면 불가능을 향한 불가능한 시도이자 실패의 기록인 시를 쓰고 또 읽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풀냄새라고 있지요? 풀을 베었을 때 나는 냄새. 사람들은 그것을 상쾌하고 신선하다고 여기지만, 실은 베인 풀이 옆의 풀에게 경고하는 게 풀냄새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옆의 풀이 도망칠 수 있겠어요? 아무짝에도 쓸모없지만 그럼에도 경고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그게 바로 문학이요 시 아닐까 싶어요.”

책을 내고 9일 기자들과 만난 시인은 특유의 비유로 설명을 대신했다. 현란한 비유와 직관은 새로 나온 책 세권을 관통하는 공통점이라 하겠는데, 불가능과 실패의 시학에 대한 비유 역시 책에서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가령 470개 짧은 단상으로 이루어진 <무한화서>의 마지막 두 장에는 각각 축구 경기 승부차기 때 선수들의 스크럼 격려와 수레에 맞서는 사마귀를 가리키는 숙어 ‘당랑거철(螳螂拒轍)’ 이야기가 나온다. 그리고 “우리가 시를 쓰는 건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생사(生死) 앞에서, 우리와 다른 사람을 위해 스크럼을 짜는 게 아닐까 해요” “시도 그런 것이 아닐까 해요. (…) 실패할 수밖에 없는 싸움에, 실패 안 할 수밖에 없다는 듯이 ‘올 인’하는 것”이라는 부연설명이 따른다.

“시는 말할 수 없는 것”이라는, <도덕경> 첫 대목을 연상시키는 선언을 <무한화서> 앞머리에 놓은 시인은 역시 설명보다는 비유로 시에 다가가고자 한다. “진실과의 우연한 만남” “대상을 맞아들이고 보내주는 태도” “운명을 보내주는 한 형식” 같은 표현이 잇따르는데, 시인 자신이 가장 아끼는 비유는 <무한화서> 278장에 나온다. “다친 새끼발가락, 이것이 시예요.”

한때 테니스로 건강을 챙겼던 시인은 요즘은 골프 연습에 푹 빠졌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시에 대해서는 소 닭 보듯 하는데, 아침에 골프 연습하러 나갈 생각을 하면 가슴이 뛴다”고도 했다. 그는 “골프에서 채를 휘둘러 공을 때리는 스윙을 네 단계로 나누는데, 그것은 곧 인생의 생로병사와 글쓰기의 기승전결과 닮았다”고 덧붙였다. 선(禪)에서 골프까지, 그에게는 세상 모든 것이 시로 통하는 듯한데, 거꾸로 시와 문학이 세상 만사에 대한 비유가 될 수도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책들이 시를 쓰려는 이들을 위한 시론이기는 하지만, 사실 제가 말하는 글쓰기는 세상의 다른 모든 것에 대한 은유일 수 있어요. 그런 점에서 이것들은 글쓰기에 관한 책만은 아니에요. 부모와 자식, 삶과 죽음, 사업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책이기도 합니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