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남북에 나라 따로 서기 전 나온 책 두권

등록 2016-02-11 20:09수정 2016-02-11 20:09

한승동의 독서무한
일급(날삯) 1원30전. 그중에서 밥값으로 80전씩 빠져나간다. 비 오는 날은 일이 없고 일급도 없다. 매일 일해도 한달 40원이 되지 않는 날삯 월급에 밥값만 24~25원씩. 소주 한 잔에 15전. 한 달에 두어 켤레씩 갈아 신어야 하는 지카다비(일본식 버선에 고무창을 댄 작업화) 한 켤레에 2원. 여기에 담배 사고 술이라도 마시면 남는 돈이 거의 없다.

북으로 간 작가 이기영의 <왜가리 촌> 소작농들은 심한 가뭄에 굶어죽을 지경이 되자 함경도 철도판(철도부설 공사) 인부 모집에 응한다. 여름에 떠났다가 찬바람 불 때 고향에 돌아간 그들을 기다리고 있던 비보. 그들의 학교 다니던 딸 ‘다섯 계집애’들이 아랫말 술집 하는 봉돌이네 처 ‘호박갈보’의 꼬임에 넘어간 어머니들 말을 듣고 ‘군산의 모시 짜는 공장’ 여직공 자리를 얻어 떠났는데, 그게 완전 사기극이었다. 인신매매꾼은 서울 색주가에 딸들을 넘기면서 한 명당 50원씩 쳐서 호박갈보에게 줬고, 호박갈보는 30원씩만 어머니들에게 몸값으로 주고 나머지는 자신이 챙겼다. 당시 공사판 인부 한 달 품삯도 되지 않았던 계집아이 몸값.

문학잡지 <문장>에 실렸던 <왜가리 촌>은 광복 다음해인 1946년 1월에 발간된 <조선단편문학선집 제1집>(범장각 펴냄)에 재수록됐다. <문장>이 1939년에 창간됐다가 1941년 4월에 폐간됐으니, <왜가리 촌>의 시대 배경은 1930년대 후반쯤이겠다. 1937년 중국 본토 침략전쟁에 나선 일제의 대량 살육과 강제동원이 본격화하던 시기다. 노동착취와 인신매매가 격심해지던 시절. 자본주의화는 급진전돼 이 참봉으로 대표되는 전통 지주들은 몰락하고 도회지 자본가들 손으로 논밭이 넘어가면서, 새 지주 앞잡이가 된 마름들은 뇌물을 바치지 않으면 소작권을 박탈해버리는 횡포를 부린다.

1946년간 <조선단편문학선집 제1집>은 이기영 외에도 정비석, 김동리, 한설야, 이무영, 김정한, 김영수, 이태준, 박노갑, 안회남, 채만식, 이효석, 김남천, 박태원, 계용묵, 석인해, 황순원의 단편들을 담았다. 너덜해졌지만 어쩐지 친근감을 주는 얇고 누런 갱지 471쪽에 이르는 이 낡은 책을 호기심에 이끌려 뒤적였는데, 낱말 표기법 등이 지금과는 사뭇 달랐지만 해독에 어려움을 느낄 정도는 아니었다.

고교시절 국어 교과서에 실렸던 <페이터의 산문>을 실로 오랜만에 다시 읽어본 것도, 같은 시기에 입수한 단기 4291년(1958년)판 <이양하 수필집>(을유문화사 펴냄)에서였다. 스토아 철학의 한 정점인 로마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영국 비평가 월터 페이터가 멋진 영어 산문으로 되살린 그 글을 다시 우리말로 옮겨 놓은 <페이터의 산문>을 비롯해 모두 20여 편의 에세이를 담은 <이양하 수필집> 초판이 나온 것은 단기 4280년(1947년).

한국전쟁 뒤에 찍은 <이양하 필집> 재판본 뒤표지 안쪽에는 ‘우리의 맹세’가 박혀 있다.

1. 우리는 대한민국의 아들 딸 죽음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1. 우리는 강철같이 단결하여 공산 침략자를 쳐부수자.

1. 우리는 백두산 영봉에 태극기 날리고 남북통일을 완수하자.

섬뜩한 구호는 60년이 지나도록 달라진 게 없는 것 같다.

한승동 책지성팀 선임기자
한승동 책지성팀 선임기자
남북에 나라가 따로 서기 전에 초판이 나온 이 두 책을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서재에 쌓여 있던 수만권의 책들을 주마간산으로 살피다가 찾아냈다. 놀라운 책의 향연을 베푸신 남 장관께 감사드린다.

한승동 책지성팀 선임기자 s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