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인공지능이 바둑 두는 시대의 에스에프

등록 2016-03-31 20:17수정 2016-12-30 10:14

한미화의 어린이책 스테디셀러
옆집의 영희 씨
정소연 지음/창비 펴냄(2015)

우주여행의 아버지라 불리는 콘스탄틴 치올콥스키를 과학자로 만든 건 쥘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라는 책이었다. 나사(미국항공우주국)가 이름을 빌려 ‘고더드 우주비행센터’를 만들기도 한 근대 로켓의 아버지 로버트 고더드도 허버트 웰스의 <우주 전쟁> 같은 에스에프(SF·공상과학소설)를 탐독했다. 오늘날 우주여행의 문을 연 사람은 쥘 베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벗어날 즈음, 아이들은 색다른 책으로 관심을 뻗어간다. 오싹오싹하고 괴기스러운 이야기나 지저분하고 역겨운 이야기를 즐긴다. 추리소설이나 과학소설에 관심이 싹트는 것도 이 무렵이다. 치올콥스키, 고더드 같은 과학자도 모두 십대 시절 에스에프를 읽었다. 아마 특목고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이들 모두 과학자가 될 수 없었을지도 모르겠다.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는 에스에프의 전통이 약한 편이다. 하지만 최근 과학소설의 개척자인 한낙원을 기리는 문학상이 제정되는 등 장르에 대한 기대감이 피어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정소연 작가의 에스에프는 상당히 독특한 감수성을 보여준다. 서정적이고 섬세하며 다정하기까지 하다. 에스에프 영화에 길들여진 독자라면 하나의 장르 안에서 작가가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란 얼마나 다양한지 적잖이 놀랄 것이다. 선입견 없이 누구나 읽어볼 만한 단편들이 <옆집의 영희 씨>에 담겨 있다.

작가들이 손꼽는 에스에프를 쓰는 큰 즐거움은 ‘새로운 세계관을 만든다’는 점이다. 독자들의 즐거움도 그렇다. 단편 ‘앨리스와의 티타임’은 이런 구절로 시작된다. “세계는 줄지어 선 작은 방과 같다. 조금 거리를 두고 바라보면 하나의 긴 공간 같을, 투명한 유리벽으로 나뉜 작고 네모난 방들을 상상해 보라. 보이지 않는 손잡이만 비틀어 열면 들어갈 수 있는 그 방들이 바로 우리가 우주라고 부르는 하나의 계다.”

국방부 직원인 앨리스는 ‘다세계연구소’에 근무한다. 업무는 지금 이 순간, 여기 이곳과 겹쳐 존재하는 다른 세계, 즉 평행우주 속으로 들어가 다른 세계를 훔쳐보고 돌아오는 일이다. 앨리스는 그동안 앤디 워홀이 없는 세계, 파블로 피카소가 무명으로 일생을 마치는 다른 세계를 보았다. 그렇다고 달라진 것은 없었다. 워홀과 피카소의 빈자리는 또 다른 누군가가 채우기 마련이었다. 암의 완치율이 높아지면 또 다른 병으로 똑같이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는 식이었다. 그렇다면 한 개인의 삶이란 그저 우연인 걸까.

우리는 이 세계에 살며 그런 공상을 할 때가 있다. 그때 선택을 달리했더라면 지금 나는 어떨까. 작가는 우리가 그토록 궁금해하는 과거와 미래, 그로 인한 인간의 운명과 존재의 이유를 묻는다. 설혹 그 선택 때문에 평범하게 산다 해도 이 삶이 화려한 다른 삶보다 하찮은 것은 아니며, 누군가의 빈자리를 채우는 건 더더욱 아니다. 우리는 언제나 자신의 세계를 힘써 살아갈 뿐이다.

한미화 출판칼럼니스트
한미화 출판칼럼니스트
작가가 만든 세계에 공명하고, 그 공명으로 잠시나마 이 세계가 아닌 저 세계를 꿈꾸어 보는 시간 혹은 하찮은 인간사를 비웃고 우주적 고민에 머리를 싸매는 일, 이 모두가 에스에프가 주는 선물이다. 호연지기를 원천봉쇄당한 십대들에게 에스에프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청소년.

한미화 출판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