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인간의 늙음, 세계의 노후(老朽)

등록 2016-06-16 20:22수정 2016-06-17 08:33

김정환 시인
김정환 시인
내 몸에 내려앉은 지명(地名)
김정환 지음/문학동네·8000원

김정환(62·사진)의 새 시집 <내 몸에 내려앉은 지명>은 읽기에 녹록지 않다. 시인 특유의 사회과학투 관념어들이 난무하는데다, 소통보다는 발설 자체가 목적이라는 듯 방언처럼 내뱉는 말들에 웬만한 독자라면 기가 질릴 법도 하다. “지명의 분명은 위축은 물론 역전-전화와도 응집과도 양면의/ 이면과도 다르다”(‘분명’) 같은 문장을 이해하자면 시인 자신의 설명을 제법 길게 들어야 할 듯싶다.

그럼에도 시집을 통독한 독자에게는 분명하지는 않더라도 어떤 모호한 느낌은 남을 텐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노후(老朽)와 죽음의 이미지다. 시인이 회갑 이후 처음 내는 이 시집에서 자신의 생물학적 늙음과 함께 세계 자체의 노후에 눈길을 주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일 게다.

“뭐지, 저, 밀가루 반죽을 얼굴 형용으로 뒤집어쓴 화상은?/ 시간은 스스로 노인인 적 없이 저 혼자 숱한 노인을 빚을 뿐인데,/ 뭘 착각한 거지 저 한없는 슬픔의 시간은?/ 내려앉은 몸의 지명 아니고 정치 너머 아니고 그냥 쪼잔한 저 말,”(‘고립의 역정’ 부분)

“이제 세계가 늙고 세계의 언어가 늙는다,/ 여기저기 모서리에 자꾸 난데없이/ 복사뼈를 가격당하는/ 인간의 노년 품고 인간의 노년보다 더./ 자연도 늙는다는 건 정신보다 육체가/ 더 조심성을 잃는다는 뜻이지./ 늙음의 문법은 ‘자꾸’와 ‘난데없이’ 같은/ 부사격으로 늙어간다.”(‘보유(補遺): 발굴 바벨탑 토대’ 부분)

“전기 문명의/ 낯익은 괴물” 노후 원전에 대한 우려와 경고를 담은 ‘원전 노후’에서 늙음의 이미지가 문명 비판으로 이어진다면, 13쪽에 이르는 장시 ‘물 지옥 무지개-세월호 참사의 말’에서는 제 자식을 잡아먹는 신화 속 인물 크로노스의 탄식이 들리는 듯하다.

“어른의 희망이었던 아이들의 그 아픈 무지개가 있을까? 있단들 우리가 볼 수 있을까, 있단들 볼 자격이 있을까?”

인용한 시에도 나오는 ‘~ㄴ들’은 ‘~ㄹ밖에’와 함께 시집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어미인데 회의와 체념, 뭉뚱그려서 달관의 뉘앙스를 풍기는 이 말들의 노후성 역시 시집의 기조와 연결된다. “‘밖에’들의 그 너그럽고/ 유순한 치매”(‘최근 미국 사정-그리고 슬픈 순간의 영원, 1990년 서라벌레코드사 발행 ’)라는 표현을 보라.

초서와 셰익스피어, 디킨스, 엘리엇처럼 시인의 영문학 전공을 떠올리게 하는 세목들이 있는가 하면, “핸드폰 없는 처지”에서 비롯된 해프닝을 다룬 ‘길찾기-이병창에게’나 ‘이빨 빠지는 나날’ 같은 작품은 시인 자신의 소소한 일상을 유머러스하게 담아서 한결 친근하게 읽힌다.

글·사진 최재봉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