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듬, 나의 시를 말한다
시골창녀
진주에 기생이 많았다고 해도
우리 집안에는 그런 여자 없었다 한다
지리산 자락 아래 진주 기생이 이 나라 가장 오랜 기생 역사를 갖고 있다지만
우리 집안에 열녀는 있어도 기생은 없었단다
백정이나 노비, 상인 출신도 없는 사대부 선비 집안이었다며 아버지는 족보를 외우신다
낮에 우리는 촉석루 앞마당에서 진주교방굿거리춤을 보고 있었다
색한삼 양손에 끼고 버선발로 검무를 추는 여자와 눈이 맞았다 집안 조상 중에 기생 하나 없었다는 게 이상하다
창가에 달 오르면 부푼 가슴으로 가야금을 뜯던 관비 고모도 없고
술자리 시중이 싫어 자결한 할미도 없다는 거
인물 좋았던 계집종 어미도 없었고
색색비단을 팔러 강을 건너던 삼촌도 없었다는 거
온갖 멸시와 천대에 칼을 뽑아들었던 백정 할아비도 없었다는 말은
너무나 서운하다
국란 때마다 나라 구한 조상은 있어도 기생으로 팔려간 딸 하나 없었다는 말은 진짜 쓸쓸하다 내 마음의 기생은 어디서 왔는가
오늘밤 강가에 머물며 영감(靈感)을 뫼실까 하는 이 심정은
영혼이라도 팔아 시 한 줄 얻고 싶은 이 퇴폐를 어찌할까
밤마다 칼춤을 추는 나의 유흥은 어느 별에 박힌 유전자인가
나는 사채이자에 묶인 육체파 창녀하고 다를 바 없다 나는 기생이다 위독한 어머니를 위해 팔려간 소녀가 아니다 자발적으로 음란하고 방탕한 감정 창녀다 자다 일어나 하는 기분으로 토하고 마시고 다시 하는 기분으로 헝클어진 머리칼을 흔들며 엉망진창 여럿이 분위기를 살리는 기분으로 뭔가를 쓴다 다시 나는 진주 남강가를 걷는다 유등축제가 열리는 밤이다 취객이 말을 거는 야시장 강변이다 다국적의 등불이 강물 위를 떠가고 떠내려가다 엉망진창 걸려있고 쏟아져 나온 사람들의 더러운 입김으로 시골 장터는 불야성이다 부스스 펜을 꺼낸다 졸린다 펜을 물고 입술을 넘쳐 잉크가 번지는 줄 모르고 코를 훌쩍이며 강가에 앉아 뭔가를 쓴다 나는 내가 쓴 시 몇 줄에 묶였다 드디어 시에 결박되었다고 믿는 미치광이가 되었다 눈앞에서 마귀가 바지를 내리고
빨면 시 한 줄을 주지
악마라도 빨고 또 빨고, 계속해서 빨 심정이 된다
자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와 절박하지 않게 치욕적인 감정도 없이
커다란 펜을 문 채 나는 빤다 시가 쏟아질 때까지
나는 감정 갈보, 시인이라고 소개할 때면 창녀라고 자백하는 기분이다 조상 중에 자신을 파는 사람은 없었다 ‘너처럼 나쁜 피가 없었다’고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펜을 불끈 쥔 채 부르르 떨었다
나는 지금 지방축제가 한창인 달밤에 늙은 천기(賤技)가 되어 양손에 칼을 들고 춤춘다 -시집 <히스테리아> 수록-
우리 집안에는 그런 여자 없었다 한다
지리산 자락 아래 진주 기생이 이 나라 가장 오랜 기생 역사를 갖고 있다지만
우리 집안에 열녀는 있어도 기생은 없었단다
백정이나 노비, 상인 출신도 없는 사대부 선비 집안이었다며 아버지는 족보를 외우신다
낮에 우리는 촉석루 앞마당에서 진주교방굿거리춤을 보고 있었다
색한삼 양손에 끼고 버선발로 검무를 추는 여자와 눈이 맞았다 집안 조상 중에 기생 하나 없었다는 게 이상하다
창가에 달 오르면 부푼 가슴으로 가야금을 뜯던 관비 고모도 없고
술자리 시중이 싫어 자결한 할미도 없다는 거
인물 좋았던 계집종 어미도 없었고
색색비단을 팔러 강을 건너던 삼촌도 없었다는 거
온갖 멸시와 천대에 칼을 뽑아들었던 백정 할아비도 없었다는 말은
너무나 서운하다
국란 때마다 나라 구한 조상은 있어도 기생으로 팔려간 딸 하나 없었다는 말은 진짜 쓸쓸하다 내 마음의 기생은 어디서 왔는가
오늘밤 강가에 머물며 영감(靈感)을 뫼실까 하는 이 심정은
영혼이라도 팔아 시 한 줄 얻고 싶은 이 퇴폐를 어찌할까
밤마다 칼춤을 추는 나의 유흥은 어느 별에 박힌 유전자인가
나는 사채이자에 묶인 육체파 창녀하고 다를 바 없다 나는 기생이다 위독한 어머니를 위해 팔려간 소녀가 아니다 자발적으로 음란하고 방탕한 감정 창녀다 자다 일어나 하는 기분으로 토하고 마시고 다시 하는 기분으로 헝클어진 머리칼을 흔들며 엉망진창 여럿이 분위기를 살리는 기분으로 뭔가를 쓴다 다시 나는 진주 남강가를 걷는다 유등축제가 열리는 밤이다 취객이 말을 거는 야시장 강변이다 다국적의 등불이 강물 위를 떠가고 떠내려가다 엉망진창 걸려있고 쏟아져 나온 사람들의 더러운 입김으로 시골 장터는 불야성이다 부스스 펜을 꺼낸다 졸린다 펜을 물고 입술을 넘쳐 잉크가 번지는 줄 모르고 코를 훌쩍이며 강가에 앉아 뭔가를 쓴다 나는 내가 쓴 시 몇 줄에 묶였다 드디어 시에 결박되었다고 믿는 미치광이가 되었다 눈앞에서 마귀가 바지를 내리고
빨면 시 한 줄을 주지
악마라도 빨고 또 빨고, 계속해서 빨 심정이 된다
자다가 일어나 밖으로 나와 절박하지 않게 치욕적인 감정도 없이
커다란 펜을 문 채 나는 빤다 시가 쏟아질 때까지
나는 감정 갈보, 시인이라고 소개할 때면 창녀라고 자백하는 기분이다 조상 중에 자신을 파는 사람은 없었다 ‘너처럼 나쁜 피가 없었다’고 아버지는 말씀하셨다
펜을 불끈 쥔 채 부르르 떨었다
나는 지금 지방축제가 한창인 달밤에 늙은 천기(賤技)가 되어 양손에 칼을 들고 춤춘다 -시집 <히스테리아> 수록-
김이듬 시인
오독을 견디며 오독과 더불어 오해받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없다. 많은 순간 인간은, 이해받기보다는 오해받는다. 삶의 체감은 더욱 그렇다. 누군가에게 온전히 이해받은 적이 언제인가. 그런 ‘생의 사건’이 일어나기는 했던가. 타인은 ‘나’를 짐짓 오해하는 자, 타인에 둘러싸인 ‘나’는 오해 속에 빚어진 허상을 정체성의 일부로 삼아야 하는 자다. 요컨대, 이해받는 일은 희귀한 일이며, ‘나’는 타인의 오해와 더불어 지탱되는 ‘얼룩’의 존재다. 오독되지 않고 읽히는 작품도 없다. 오독은 피할 수 없는 수난이며, 한 작품이 자신을 전적으로 독자에게 맡기는 헌신의 일환이기도 하다. 오독의 내용에 대해서는 작품과 독자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김이듬의 시를 오독하는 확실한 방법은 분명해 보인다. 시에 등장하는 기생, 창녀, 팜므파탈, 광기 어린 여성 등의 캐릭터를 시인과 혼동하는 것, 이 고통스러운 상상의 인격들에게서 이 세계의 망상과 우리 자신의 ‘얼룩’(병증과 위선 등)이 아닌 감각적 이미지의 말초성만을 읽어내는 것이다. 김이듬이 비판하려는 그것을, 정반대로 분별없이 소비하는 방식. 김이듬의 시는 오해를 쓰기의 단계에서부터 반영한다. 김이듬은 우리 사회가 구사해온 갖은 오해의 통치술(가령, 진주 기생에 대한 편견, 어린 ‘나’의 고집을 꺾는 부모의 훈육 이념)을 폭로하면서도, 그 오해들이 ‘나’의 정체성과 주체성의 뒤틀린 기원임을 잊지 않는다. 비판하고 저항하는 ‘나’의 ‘불순함’에 대한 김이듬의 자의식은 너무도 강렬해서, 그녀의 시는 “아무것도 생산할 수 없는 이 시대의 삶에 대한 그로테스크한 반응”(시인 이승훈)을 넘어, 불모의 세계에서 “영혼이라도 팔아 시 한 줄 얻고 싶은” 마음을 “퇴폐”라고 냉소하며 기어코 “내 마음의 기생”을 발견하는 데 이른다. 차라리 발명인 이 발견은 ‘시인’과 ‘기생’의 차이로 상징되는 생각(오해)의 틀을 문제삼는다. “내 마음의 기생”과 “내 마음의 시인”이 호환되지 못할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이유를 찾지 못하는 한 김이듬의 시는 오독된다. 물론, 김이듬의 시는 이 오독을 견디며 오독과 더불어 번성한다. 김수이 문학평론가·경희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