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살아내야 한다는 결기

등록 2016-09-30 19:26수정 2016-09-30 19:41

[토요판] 오동진의 시
해변의 묘지  폴 발레리

비둘기들 노니는 저 고요한 지붕은
철썩인다. 소나무들 사이에서, 무덤들 사이에서.
공정한 정오는 여기에서 불길로 바다를 짠다.
언제나 되살아나는 바다를!
신들의 정적에 오랜 시선을 보냄은
오 사유 다음에 찾아드는 보상이여! (…)

땅 밑에 누워 있는 조상들이여, 주인 없는 머리들이여,
삽으로 퍼 올린 한 많은 흙의 무게에 짓눌려
우리네 발걸음을 휘청거리게 하는구나,
참으로 갉아먹는 자, 부인할 길 없는 구더기는
묘지의 석판 아래 잠자는 당신들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구더기들은 생명을 먹고 살며, 나를 떠나지 않는다.

자기에 대한 사랑일까. 아니면 미움일까?
구더기의 감춰진 이빨은 나에게 바짝 가까워서
그 무슨 이름이라도 어울릴 수 있으리!
무슨 상관이랴! 구더기는 보고 원하고 꿈꾸고 만진다!
내 육체가 그의 무덤에 들어, 나는 침상까지에서
이 생물에 소속되어 살아간다! (…)

날아갈, 온통 눈부신 책자들이여!
부숴라, 파도여! 뛰노는 물살로 부숴버려라
돛단배들이 먹이를 찾아다니는 이 잠잠한 지붕을!

폴 발레리의 <해변의 묘지>를 기억하고, 잊혀진 그 시구들을 다시 뒤져보게 됐던 건 순전히 애니메이션 한 편 때문이다. 그것도 재패니메이션. 일본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는 그의 전작(全作) 가운데서 가장 이질적이고 논쟁적인(이 작품은 군국주의를 옹호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영화였다. 그래서인지 개인적으로는 가장 끌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하야오의 다른 전작(前作)들에서는 비현실적이면서도 동시에 매력적인 캐릭터가 나오는데(예컨대 <이웃집 토토로>에 나오는 숲의 정령 ‘토토로’나 <벼랑 위의 포뇨>에 나오는 바다의 요정 ‘포뇨’ 같은) 이 작품에서는 그런 존재들이 전혀 없다는 점이야말로 역설적으로 <바람이 분다>에 끌리게 된 요인이었다. 뭐랄까. 이건 진짜 얘기 같아서랄까. 영화는 말 그대로 ‘인간의 서사’만으로 채워져 있는데 그건 어쩌면 미야자키 하야오 스스로를 자전(自傳)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나 싶은 생각이 들었고, 하야오가 이 작품을 끝으로 거의 은둔의 길로 들어선 것 역시 그 같은 짐작을 가능케 한 대목이기도 했다.

인생을 살다 보면 늘 ‘바람’이라는 것이 불기 마련인데 그 바람 앞에 섰을 때 ‘살아가야겠다’고 스스로에게 속삭이는 것은 단순한 의지의 발현만이 아니다. 거기에는 약간의 처절함이 담겨 있는 것인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서, 더 나아가 사랑하는 누군가를 위해서 ‘살아내야만 한다’는 결기 같은 게 숨겨져 있다. 이 비루한 세상에서 더 이상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없다 해도 그건 어디까지나 나 혼자만이 존재할 때의 얘기다. 사랑하는 연인 혹은 자식들을 위해서라면 거칠고 험한 세상을 어떻게든 뚫고 나가야 한다. 근데 그건 동시에 굉장히 고독한 일이기도 하다. 사람은 외로움을 겪을 때 성장하는 법이다. 바람을 홀로 맞을 때, 그것을 견딜 수 있을 때, 바야흐로 나 자신과 주변을, 무엇보다 세상을 바꿀 용기를 얻는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바람이 분다>의 주인공 ‘지로’ 역시 마찬가지다. 그는 병으로 죽어가는 아내 ‘나호코’를 위해 최고의 비행기=전투기를 만들려고 온 힘을 다한다. 지로는 비행기 설계사이자 디자이너이고 자신이 만드는 전투기가 군국주의의 병기(兵器)로 쓰인다는 것과는 별개로 극단적으로 혼돈스러운 시대에 ‘죽어가는 아내를 위해 해줄 수 있는 가장 최선의 것=자신의 일을 완성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건 어쩌면 순수한 것은 순수한 것으로 보답하겠다는 심성 같은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만이 그 미묘한 애틋함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어서 대다수의 타인들은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 감정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서도 지로의 여자 나호코만이 남자의 ‘그 마음’, 그 순수의 결정체를 이해한다. 그녀가 죽기 직전 스스로 이불을 걷고 거리로 나가 홀로 사라지는 건 더 이상 남자가 자신 때문에 상처를 받기를 원치 않기 때문이다.

(…) 너의 공포를 저지하는 것은 나뿐/ 나의 뉘우침도, 나의 의혹도, 나의 속박도/ 모두가 네 거대한 금강석의 결함이어라/ 하나 대리석으로 무겁게 짓눌린 사자들의 밤에/ 나무뿌리에 감긴 몽롱한 사람들은/ 이미 서서히 네 편이 되어 버렸다. (…) 바람이 분다, 살아가야겠다/ 거대한 대기는 내 책을 펼쳤다 또 다시 닫는다/ 가루가 된 파도는 바위로부터 굳세게 뛰쳐나온다. (…)

나이 오십이 넘으면 다행스럽게도 서서히 깨달음이 온다. 죽지 말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인생은 나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타인을 위해 바쳐져야 한다는 것을. 그럴 때만이 나 자신의 존엄성이 지켜진다는 것을. 요즘은 바람 정도가 아니라 아예 광풍이 분다. 그 어느 때보다 내 아이가 위험하며 내 여자가 위험하다. 더욱더 굳건하게 ‘살아내야’ 할 때이다.

오동진 영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