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순례/인천 배다리 아벨서점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032-766-9523) 주인 곽현숙(55)씨는 책방에 없다. 30여m 떨어진 건축 공사장 지붕에서 못을 박고 있었다. 낡은 민가를 인수해 책 창고로 개조하는 것. 또 책방 옆 한 집 건너도 공사 중이다. 세 들었던 ‘배다리 아벨 전시관’을 옮겨오기 위해서다. 모두 환경친화적 자재를 쓴다.
“책은 예우받아야 합니다. 사실의 기록이기 때문이죠. 연애소설에도 시대상이 반영돼 있어요.”
공사장에서 책방으로 오는 길. 뒷길로 돌아오면서 즐비한 여인숙과 옥호가 페인트에 묻힌 ‘대산상회’를 보여주었다. 여인숙은 옛날 강화도나 먼 뭍에서 물건 떼러 온 상인들이 머물던 곳이고 상회는 도매집이었다고 추정된다. 세월이 더께 앉은 곳. 땅을 파면 개흙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곳이 바다였음을 비로소 안다고 전했다.
“책 손님 또한 예우받아야 합니다. 귀한 시간을 내 자기를 찾고자 하는 분들이니까요. 책을 읽고 고르는 행위는 기도와 같아요. 이곳은 기도하는 공간입니다.”
25평이 무척 넓어보인다. 30여명이 들어와도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 손님 각자가 기도하는 심정이려니와 통로와 벽과 만나는 곳에 작은 공간을 두어 콕 틀어박히게 만들기 때문.
“책방은 소중한 두 존재가 만나는 공간입니다. 책방 주인은 그저 책을 정리해주면 그만이죠.”
책과의 인연은 1966년 열일곱 살 때부터. 야간중학을 다니며 책을 월부로 팔았다. 당시는 전집뿐 아니라 단행본도 그랬다. <가정백과> 1500원짜리는 다섯달 끊어 한달 300원씩이었다. 걸으면서 종일 책을 읽었다.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하지만 그에게 ‘책은 곧 길’이었다. “길 위의 모든 것이 책입니다. 책은 길보다 높지도 낮지도 않아요. 그저 삶을 알아가기 위해 디디는 것일 따름이죠.” 73년 스물네 살 때 두평반 책방을 차렸다. 그만큼 알고 싶은 게 많았고, 그 결과 세상과 타협하지 않아도 되었다. 당시는 큰길에서 영화학교 정문 근처 건널목까지 헌책방이 즐비했다. 그의 책방은 골목 안쪽에서 시작해 큰길 쪽으로 차츰 진출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아벨은 가지를 뻗고 다른 책방들은 점점 사라졌다. 지금은 새책방 한 곳을 포함해 6곳이 남았다. 왜 그럴까. “책방은 죽지 않습니다. 책방 주인이 죽을 뿐이죠.” 죽어가는 게 어디 책방 주인뿐이겠는가. 실제 창고를 지으면서 보니 공사장에 젊은 인부가 없단다. 깨끗하고 폼나는 정보기술 쪽으로 몰려간다는 얘기다. 젊은이들한테 사는 것을 가르치지 않아서라는 진단이다. “책만 읽힌 아이는 머리 큰 귀신을 만듭니다. 설거지도 같이 시켜야 합니다.” 에프엠 선율이 책 사이로 스며들었다. 똘똘한 책들 가운데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동의어연구>,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발칙한 한국학> <한국여성사>(모두 3권)가 눈에 들어왔다. “책은 제값은 물론 몸의 수고와 함께 먹는 양식입니다.” 인터넷으로 ‘콕 찍어먹는’ 세태가 아쉽다. 마음 고픈 사람들이 세상을 읽어가는 연습도 하고, 삶의 의미를 읽어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살아있는 글들이 살아있는 가슴에.’ 명함의 글이다. 책방이 넓어보이는 이유가 있었다. 인천은 복받은 도시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책과의 인연은 1966년 열일곱 살 때부터. 야간중학을 다니며 책을 월부로 팔았다. 당시는 전집뿐 아니라 단행본도 그랬다. <가정백과> 1500원짜리는 다섯달 끊어 한달 300원씩이었다. 걸으면서 종일 책을 읽었다.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하지만 그에게 ‘책은 곧 길’이었다. “길 위의 모든 것이 책입니다. 책은 길보다 높지도 낮지도 않아요. 그저 삶을 알아가기 위해 디디는 것일 따름이죠.” 73년 스물네 살 때 두평반 책방을 차렸다. 그만큼 알고 싶은 게 많았고, 그 결과 세상과 타협하지 않아도 되었다. 당시는 큰길에서 영화학교 정문 근처 건널목까지 헌책방이 즐비했다. 그의 책방은 골목 안쪽에서 시작해 큰길 쪽으로 차츰 진출하면서 규모가 커졌다. 아벨은 가지를 뻗고 다른 책방들은 점점 사라졌다. 지금은 새책방 한 곳을 포함해 6곳이 남았다. 왜 그럴까. “책방은 죽지 않습니다. 책방 주인이 죽을 뿐이죠.” 죽어가는 게 어디 책방 주인뿐이겠는가. 실제 창고를 지으면서 보니 공사장에 젊은 인부가 없단다. 깨끗하고 폼나는 정보기술 쪽으로 몰려간다는 얘기다. 젊은이들한테 사는 것을 가르치지 않아서라는 진단이다. “책만 읽힌 아이는 머리 큰 귀신을 만듭니다. 설거지도 같이 시켜야 합니다.” 에프엠 선율이 책 사이로 스며들었다. 똘똘한 책들 가운데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동의어연구>,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발칙한 한국학> <한국여성사>(모두 3권)가 눈에 들어왔다. “책은 제값은 물론 몸의 수고와 함께 먹는 양식입니다.” 인터넷으로 ‘콕 찍어먹는’ 세태가 아쉽다. 마음 고픈 사람들이 세상을 읽어가는 연습도 하고, 삶의 의미를 읽어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살아있는 글들이 살아있는 가슴에.’ 명함의 글이다. 책방이 넓어보이는 이유가 있었다. 인천은 복받은 도시다. 임종업 기자 blitz@hani.co.kr
연재헌책방 순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