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쥘리아 크리스테바가 롤랑 바르트를 죽였다?!

등록 2018-03-01 19:27수정 2018-03-01 19:50

프랑스 소설 ‘언어의 7번째 기능’
바르트 죽음이 타살이라는 설정
프랑스와 미국 지식인들 총출동

언어의 7번째 기능
로랑 비네 지음, 이선화 옮김/영림카디널·1만5800원

이토록 화려한 캐스팅이라니! 이토록 세련된 지적 유희라니! 그리고 이토록 거침없는 상상력이라니!

프랑스 작가 로랑 비네(46)의 소설 <언어의 7번째 기능> 얘기다. ‘누가 롤랑 바르트를 죽였나?’라는 한국어판 부제가, 말하자면 소설의 출발점이다. 프랑스의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기호학자, 비평가인 바르트는 1980년 2월25일 파리에서 세탁물 운반 트럭에 치여 한달 뒤인 3월26일 숨을 거두었다. 여기까지는 바르트의 죽음에 관한 객관적 사실. <언어의 7번째 기능>의 작가는 그러나 그 죽음이 단순 사고사가 아니며 배후에 모종의 비밀과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는 전제를 설정한다. 그 비밀을 요약한 것이 바로 책의 제목인 ‘언어의 7번째 기능’이다.

러시아 출신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에 따르면 언어에는 여섯가지 기능이 있다. 지시적 기능, 감정표현적 기능, 능동적 기능, 친교적 기능, 메타언어적 기능, 시적 기능이 그 여섯. 그러나 야콥슨이 ‘마법 혹은 주문적인 기능’이라 표현했고 영국 언어학자 존 오스틴이 ‘수행적’ 기능이라 이론화한 또 하나의 기능이 있다. “발화와 동시에 행위가 일어난다”는 것인데, 하느님이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생겨났다는 창세기의 말씀이 단적인 예다. 언어가 곧 행동과 현실로 바뀌는 이 일곱번째 기능의 가치와 위력을 소설 속에서 이탈리아 기호학자 움베르토 에코는 이렇게 설명한다.

“이런 기능을 알게 된 사람, 그것을 마음대로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세계의 주인이 될 수 있겠죠. 그 힘은 무궁무진할 겁니다. 모든 선거에서 이길 수 있을 것이고 군중을 뜻대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며 혁명을 일으키고 여자를 유혹하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물건을 팔 수 있을 것이고 (…) 원하는 건 뭐든지, 어떤 상황에서든 차지할 수 있을 겁니다.”

바르트는 바로 이런 언어의 일곱번째 기능을 손에 넣었다가 살해당했다. 그가 확보했던 기능 또는 능력을 눈치채고 빼앗으려는 움직임은 크게 두 방향에서 온다. 선거를 앞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진영, 그리고 바르트의 동료이자 후배 학자인 쥘리아 크리스테바와 필리프 솔레르스 부부가 그들이다. 정보국에서 파견된 중년 수사관 바야르는 학자들이 구사하는 전문 용어와 학계 동향 등에 관한 도움을 받고자 뱅센 대학의 젊은 기호학 강사 시몽을 ‘통역사’로 고용한다.

부재하는 주인공 바르트와 그 살해범 크리스테바-솔레르스 부부, 그리고 에코 말고도 이 소설에는 프랑스와 미국 학계의 스타들이 총출동하다시피 한다.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루이 알튀세르, 베르나르앙리 레비, 질 들뢰즈, 츠베탕 토도로프, 장폴 사르트르, 폴 드만, 노엄 촘스키, 가야트리 스피박, 데이비드 로지, 주디스 버틀러, 로만 야콥슨, 존 설…. 여기에다가 당시 프랑스 대통령 데스탱과 그 경쟁자 프랑수아 미테랑 같은 정치가까지, 작가는 개런티 걱정 없이 쓰고 싶은 ‘배우’를 욕심껏 동원한다. 그런 점에서 작가야말로 ‘언어의 일곱번째 기능’을 마음대로 구사하는 이가 아닐까.

사우나에서 젊은 남창(男娼)의 서비스를 받는가 하면 대학가 술집에서 록 가수 믹 재거의 포스터를 보며 자위를 하는 푸코, “사악한 듀오, 정치 커플”이자 살인자로 그려지는 크리스테바와 솔레르스, “난 남자고 당신을 범하고 있어!”라며 바야르를 덮치는 ‘호전적 레즈비언’ 주디스 버틀러, 베르나르앙리 레비에 대한 경멸적 묘사, 그리고 실제로는 2004년에 숨졌는데 소설에서는 1980년 코넬대 근처 묘지에서 개에 물려 죽는 데리다 등의 경우를 보면 ‘소설에서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허용되는가’ 하는 의문이 절로 떠오른다.

알튀세르의 아내 살해가 바르트의 죽음과 관련된다든가, 시몽과 바야르 그리고 에코가 1980년 볼로냐역 폭탄 테러를 목격한다는 등의 설정은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이나 에코의 소설 <프라하의 묘지>를 닮았다. 대학가와 지식인 사회 유명인들이 나온다는 점에서는 데이비드 로지의 소설 <교수들>이나 크리스테바의 자전적 소설 <무사들>이 떠오르기도 한다. 프리메이슨을 연상시키는 비밀 결사 ‘로고스 클럽’ 역시 흥미롭다. 작가 비네는 한국에도 번역된 첫 소설 로 2010년 공쿠르상 신인상을 받았으며, 2015년에 이 소설로 프낙상과 엥테랄리에상을 받았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