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 신학자·환경사상가 존 캅
“끔찍한 재앙 피할 가능성 없어
화려한 수사보다 필요한 행동을”
글로벌경제서 로컬경제로 전환해야
“끔찍한 재앙 피할 가능성 없어
화려한 수사보다 필요한 행동을”
글로벌경제서 로컬경제로 전환해야
존 B. 캅 주니어 지음, 한윤정 엮고 옮김/지구와사람·1만6000원 지난 여름을 기억하는가. 밤에도 섭씨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며 편히 잠을 이루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았던 그 끔찍한 더위. 연일 사상 최고 기온을 갱신했다는 소식에, 사람들은 기후변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더는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온몸으로 느꼈을 테다. 하지만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자 그런 결심도 식어버렸고, 이젠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그래도 괜찮은 걸까? ‘너무 늦은 걸까?’ 1971년 미국 신학계엔 이런 제목의 책 한 권이 출간됐다. ‘생태 신학’이라는 생소한 주제를 다루는 첫번째 책으로 꼽힐 이 책의 지은이는 ‘과정신학’이라는,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에게는 이단적으로 보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신학을 주창해 주목을 받는 소장 신학자였다. 그는 40대 중반에 중대한 ‘회심’을 경험했다. 그의 회심은 일반적인 종교적 체험과는 달랐다. 그의 존재를 뒤흔든 깨달음은 영속하리라 생각한 인간의 문명이 사실은 멸망의 길에 접어들었다는 것이었다. 그 뒤로 그는 현대 자본주의 산업문명을 ‘생태문명’으로 전환하는 것을 자신의 소명으로 삼고 열정적으로 활동해왔다. 세계 각국의 경제학자, 건축학자 등 다른 분야의 학자들만이 아니라, 불교, 힌두교 등 타종교인까지 가리지 않고 교류하며 생태문명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해왔다. 올해로 93살이 된 그는 이제 원로 생태사상가로 꼽히지만, 여전히 세계를 다니는 활동가로 살고 있다. 그는 존 캅 주니어(John B. Cobb Jr.)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 명예교수다.
10일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만난 미국 신학자이자 생태사상가인 존 B. 캅 주니어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명예교수는 “저에 대한 하나님의 부르심은 고통을 줄이고 인류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다 하는 것입니다. 마르크스주의자나 불교도에게도 이런 소명이 없다고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미국의 신학자이자 생태사상가인 존 B. 캅 주니어 미국 클레어몬트 신학대학원 명예교수가 10일 오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화이트헤드에게 영감 받은 과정신학
존 캅은 1925년 부모가 기독교 선교사로 일하던 일본 고베에서 태어났다. 그는 11살 때인 1936년 가족들과 함께 중국으로 여행을 가면서 한국을 들른 적이 있다고 한다. “기억이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으로 가는 길에 서울에 이틀 정도 머무르면서 광화문도 보고 절 같은 곳에도 들렀었습니다.” 지난 2004년 국제화이트헤드 학회에 참석한 이후로 10여년 만에 한국을 찾았다. 6년 전에는 북한을 방문했었다고 한다.
그가 주창한 과정신학은 영국 출신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1861~1947)의 과정철학을 신학적으로 소화한 것이다. 그는 시카고대 신학대학원에서 화이트헤드의 제자인 찰스 하츠혼에게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배웠다. 특히 자연과 인간 주체를 분리한 데카르트를 비판하고,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 또한 주체이며 인간은 자연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체적 관계에 있다는 화이트헤드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정건화 교수는 “이런 ‘유기체 철학’은 모든 존재가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동양 철학과 통하는 데가 많아, 중국에서도 화이트헤드와 캅을 서구 철학과의 대화 파트너로 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신 또한 모든 일을 계획해놓은 전지전능하고 불변하는 존재가 아니라 피조물의 행동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존재라는 것이 과정신학의 신 관념이다. 신 또한 이 세계와 함께 완성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열려 있는 존재라고 본 것이다. 이런 과정신학은 기독교만이 진리가 아니라 다른 종교와 대화를 통해서 서로 보완할 수 있다는 종교적 다원주의로도 이어진다. 성서의 문자적인 해석에 기반해 동성애와 타종교 혐오나 낙태 반대 등을 주장하는 근본주의적 기독교인들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는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클레어몬트에서 100여명의 퇴직 목회자 등과 함께 ‘필그림 플레이스’라는 은퇴 시설을 만들어 공동체 생활을 하고 있다. 이마의 피부암으로 6개월마다 정기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기는 하지만 다른 큰 지병은 없다고 한다. 그는 육류는 먹지 않지만 해산물과 유제품은 먹는 ‘페스코 채식주의자’로 생태적 생활방식을 실천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