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2천년을 가로지르는 인문지식의 향연

등록 2018-10-25 20:08수정 2018-10-25 20:19

역사, 눈앞의 현실
탕누어 지음, 김영문 옮김/흐름출판·3만원

눈앞. 맞닥뜨리는 건 구체적 현실이다. 과거에 살았던, 현재를 살고 있는, 앞으로 살아갈 누군가가 부딪쳐야 할 운명이다. “모든 사람의 시선이 각각 한 줄기 도(道)의 빛이고 한 가닥 한 가닥의 직선이며 아주 고독한 것이라고 상상한다”.

<역사, 눈앞의 현실>에서 시선들은 시공간을 가로지르며 교차한다. 책의 원제는 ‘눈앞’(眼前)이다. 이 책은 책읽기가 직업인 타이완의 문화평론가 탕누어가 2000여년 전 춘추시대의 역사서 <좌전>을 읽은 결과물이다. <좌전>은 공자가 쓴 <춘추>를 해설한 주석서지만, <역사…>는 <좌전>의 주석서가 아니다. 탕누어는 춘추시대의 인물과 욕망, 사건 들에 세계적 문학가와 사상가 들의 사유를 접속시켜 과거를 새롭게 조명하고 현재의 문제를 성찰한다. 지식인(정치인), 글쓰기(저자), 꿈(귀신), 정욕, 평화, 전쟁, 음악, 시간 등 8가지를 소재로 자신의 생각을 펼친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문학작품”으로 본다.

정나라의 집정관 자산(子産)의 얘기에서 시선의 교차가 뚜렷이 드러난다. 자산의 눈앞은 강대한 나라들 틈에 끼어 전쟁터가 된 약소국의 현실이었다. 탕누어는 중국 대륙의 위협에서 늘 생존을 걱정하는 섬나라에 서 있다. 우리 눈앞 한반도가 2000여년 전 정나라에 더 가깝다. “오직 지리적 위치 때문이었다. 이런 점이 정말 사람을 슬프게 한다.” 저자는 이런 운명에 공감하며 쓸쓸해 한다. 그러면서도 “작은 나라 국민은 더 깊은 사유를 시작하면서 큰 나라 국민은 생각할 필요도 없고 근본적으로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을 생각한다”며 변방의 사유를 긍정한다. <춘추>가 한 시대 전체의 역사책이 된 것도 작은 노나라에서 쓰였기에 그랬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