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ESC] 결혼 않고도 내 집 장만 비법 있다

등록 2021-02-09 21:41수정 2021-02-10 02:44

명절 대화에 빠지지 않는 두 가지, ‘결혼’과 ‘부동산’이다. 비혼을 결심한 이에게는 둘 모두 달갑지 않다. 가부장제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부동산 공화국에서, 결혼과 부동산에 관한 대화는 ‘얼른 결혼하고 집 사라’는 결론으로 흐르고 만다. 최근 출간된 책 <결혼은 모르겠고 내 집은 있습니다>(김민정, 21세기북스), <혼자지만 아파트는 갖고 싶어>(한정연, 허들링북스)는 다른 결론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혼제도에 기대지 않아도, 기성세대가 그토록 강조하는 ‘안정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결혼은…>은 방송작가 출신 지은이가 ‘비혼·여성·비정규직’이라는 ‘페널티’를 갖고도 악착같이 내 집을 마련한 이유와 방법을 담은 책이다. “집 없이 얼마나 혼자서 살아갈 수 있을까. 결혼을 해서 함께 돈을 모으면 수도권의 작은 아파트라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주거불안에 질식해 잠 못 들던 지은이는 우연히 비혼인‘데도’ 집을 산 지인을 만나고 사고 회로를 확 튼다. “비혼의 삶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라도 집이 필요하다.” 10년 동안 6차례 이사 다니면서 ‘서러움’이라는 단어에 다 담지 못할 일을 수없이 겪은 그였다. 전세금 돌려받으려다 “경상도 여자는 다신 안 받는다”는 소리를 듣고, 옆집 남자에게 사과 한 봉지를 내밀며 소리를 낮춰달라고 ‘간청’한 적도 있다.

기혼자를 위해 설계된 거대한 대출·청약 제도 앞에 홀로 서는 건 또 다른 설움이었다. 혼인신고를 안 해도 “청첩장 한 장”이면 손쉽게 기혼으로 인정받아 대출이 쉬웠던 예비부부와 달리, 그는 ‘디딤돌 대출’을 위해 ‘근무확인서’까지 받아야 했고, 종잣돈 1억원을 만들기 위해 방송사 3곳에서 주 6일 일했다. 결국 대출 끼고 경기 고양시에 20평대 아파트를 마련한 그는 이렇게 조언한다. “비혼이라고 뭐든 혼자서 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 (가족의 도움 등) 비빌 수 있는 언덕에는 다 비벼보자.” 내 집 마련으로 최소한의 안정감을 채운 지은이는 주 30시간 노동을 지키며 잔잔한 일상을 회복해 나간다.

<혼자지만…>은 밀레니얼 1인 가구를 위한 내 집 마련 방법을 담은 책이다. 경제지 기자 출신 지은이는 책 첫 장에서 “자식에게 물려줄 집, 그럴듯한 브랜드 아파트를 선망하는 이들이 아니라 그저 안락한 아파트 한 채를 갖고 싶은 이들을 위한 책”이라고 선을 긋고 시작한다. 비혼인은 세금·대출 면에서 약자이지만, 학군 프리미엄으로부터 자유롭고, 자산증식 면에서 불리한 ‘나 홀로 아파트’(세대수가 적은 한 동짜리 아파트) 같은 매물도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하다는 점을 짚는다. ‘3∼4년 뒤에 팔 거면 사지 마라’, ‘월급이라는 현금줄이 막혔을 때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확인하고 대출하라’는 등 내 집 마련을 마냥 부추기지 않는 지은이의 태도가 미덥다.

최윤아 기자 a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